[사설] (28일자) 널뛰는 외환시장 섣부른 자극은 금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원ㆍ달러 환율이 달러당 1100원대에 육박하면서 관련업계의 피해와 물가상승 등 부작용이 현실화되고 있어 걱정이다. 원ㆍ달러 환율은 이달 들어서만 70원 넘게 올랐다. 원화 가치는 달러 대비 7% 넘게 떨어져 세계 주요 통화 가운데 몇 손가락 안에 꼽힐 정도로 큰 폭의 하락률을 기록중이라고 한다.
사실 환율은 기본적으로 시장 수급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오를 수도, 내릴 수도 있다. 또 어느 정도가 적정 수준이라는 기준도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최근 환율 움직임이 우려(憂慮)되는 것은 상승 속도가 지나치게 빠른데다 심한 쏠림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환율이 가파르게 오르는 이유는 글로벌 달러 강세가 본격화되고 있는데다 경상적자 우려에 외국인의 주식 매도 등 악재가 겹친 탓이다. 여기에 수입업체들의 무차별 달러 매수와 수출업체들의 달러 매도 지연 등으로 이래저래 외환시장에서 달러 씨가 마르는 형국이다. 조선업체 등 수출업체들이 지난해 과도하게 선물환 매도에 나섰던 것도 최근 환율 쏠림 현상을 부추기는데 한몫하고 있다.
문제는 현 상태에서 뾰족한 대안이 없다는 것이다. 정부는 어제 구두개입과 10억달러가량의 달러를 쏟아부어 일단 급등세는 저지하고 나섰지만 정부 개입으로 환율 상승세가 진정될지는 극히 의문이다. 앞선 시장 개입으로 외환보유액이 크게 줄어 추가 개입 여력(餘力)이 크지 않은데다 이미 드러난 것처럼 효과 역시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큰 까닭이다.
그렇긴 하더라도 환율 급등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가중되면서 원유 가격 하락 효과가 반감되고 있는데다 철강 정유 항공 등 업종의 피해가 확대되고 중소기업들의 KIKO 손실 역시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어 마냥 손을 놓고 있기도 어렵다.
따라서 정부는 꼭 필요할 경우에 한해 최소한 시장에 개입하되 이전처럼 정부가 앞장서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높이는 등 시장에 그릇된 신호를 줘서는 안될 것이다. 다시 말해 정부가 의도한 방향으로 환율을 움직이려 하기보다는 시장의 안정과 변동성 축소에 더 역점을 둬야 한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 시장감시도 강화,투기세력이 발 붙이기 어렵게 만들어 외환시장이 본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실 환율은 기본적으로 시장 수급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오를 수도, 내릴 수도 있다. 또 어느 정도가 적정 수준이라는 기준도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최근 환율 움직임이 우려(憂慮)되는 것은 상승 속도가 지나치게 빠른데다 심한 쏠림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환율이 가파르게 오르는 이유는 글로벌 달러 강세가 본격화되고 있는데다 경상적자 우려에 외국인의 주식 매도 등 악재가 겹친 탓이다. 여기에 수입업체들의 무차별 달러 매수와 수출업체들의 달러 매도 지연 등으로 이래저래 외환시장에서 달러 씨가 마르는 형국이다. 조선업체 등 수출업체들이 지난해 과도하게 선물환 매도에 나섰던 것도 최근 환율 쏠림 현상을 부추기는데 한몫하고 있다.
문제는 현 상태에서 뾰족한 대안이 없다는 것이다. 정부는 어제 구두개입과 10억달러가량의 달러를 쏟아부어 일단 급등세는 저지하고 나섰지만 정부 개입으로 환율 상승세가 진정될지는 극히 의문이다. 앞선 시장 개입으로 외환보유액이 크게 줄어 추가 개입 여력(餘力)이 크지 않은데다 이미 드러난 것처럼 효과 역시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큰 까닭이다.
그렇긴 하더라도 환율 급등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가중되면서 원유 가격 하락 효과가 반감되고 있는데다 철강 정유 항공 등 업종의 피해가 확대되고 중소기업들의 KIKO 손실 역시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어 마냥 손을 놓고 있기도 어렵다.
따라서 정부는 꼭 필요할 경우에 한해 최소한 시장에 개입하되 이전처럼 정부가 앞장서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높이는 등 시장에 그릇된 신호를 줘서는 안될 것이다. 다시 말해 정부가 의도한 방향으로 환율을 움직이려 하기보다는 시장의 안정과 변동성 축소에 더 역점을 둬야 한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 시장감시도 강화,투기세력이 발 붙이기 어렵게 만들어 외환시장이 본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