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CEO] 기고 : 최정도 누리사업협의회 이사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이 기사는 BizⓝCEO 기획특별판 입니다 >
누리사업은 국가균형발전 위한 ‘교육 처방’
2단계 사업으로 대학·지역 자생력 키워야
누리(NURI)사업은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의 줄임말이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과 경쟁력 강화,지역 간 균형발전을 위해 지난 2004년부터 5년간의 사업기간으로 약 1조 3000억원의 국비가 투입되는 국가전략 교육사업이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101개 대학 141개 사업단들은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한 특성화교육과 산학협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지역의 관련기관 인적자원간의 네트워크 구축,실무중심의 교육과정 개편 등의 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난 4년간의 사업성과로 사업단의 신입생 충원율 100%,졸업생 취업률의 획기적인 향상(사업시작년도인 2004년 58.9%에서 2008년 74.7%),교원확보율의 증가(2004년 63.8%에서 2008년 91.9%),실무형 교과과정 개선 년 2000여건,참여기업의 만족도 81% 등과 같이 구체적이면서 가시적인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누리 사업의 목적은 각 지방대학에서 졸업 후 바로 사회에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우수 인재를 양성해 배출하고,지역의 연관기업과 연계해 특성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수도권 위주의 발전기반을 각 지역으로 배분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양질의 토양을 만드는 국가 차원의 '교육적 처방'인 것이다.
누리사업은 대학원생 대상의 과학기술 핵심인력 양성사업인 BK21사업,산학협력 등 연구사업 목적의 RIC사업과 달리 지역에서 양성된 인재가 사회에서도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보다 효율적인 사업이다. 문제는 100년을 내다보는 교육사업의 일환이기 때문에 올해 완료되는 1단계 사업으로는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지난 5년간은 지역사회와 연계해 대학의 특성에 맞게 개선 및 보완작업을 거쳐 사업의 토대를 다지는 과정이었다. 때문에 누리사업협의회는 얼마 전부터 누리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2단계 사업을 추진해왔고 최근 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들어갔다.
2단계 사업의 핵심은 정부의 지원이 없더라도 대학과 지역 자체적으로 자생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을 거쳐야만 누리사업의 성과가 국가 발전에도 이바지하는 단계에 올라갈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관심과 더불어 각 지역 인재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사업에 동참하는 적극성이 필요하다.
어떤 사업이든 과도기의 시기는 있는 법이다. 향후 10년 정도의 시간을 두고 누리사업을 꾸준히 전개한다면 국가 균형발전이라는 과업을 달성하는 데 큰 힘을 보탤 수 있을 것이다.
누리사업은 국가균형발전 위한 ‘교육 처방’
2단계 사업으로 대학·지역 자생력 키워야
누리(NURI)사업은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의 줄임말이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과 경쟁력 강화,지역 간 균형발전을 위해 지난 2004년부터 5년간의 사업기간으로 약 1조 3000억원의 국비가 투입되는 국가전략 교육사업이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101개 대학 141개 사업단들은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한 특성화교육과 산학협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지역의 관련기관 인적자원간의 네트워크 구축,실무중심의 교육과정 개편 등의 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난 4년간의 사업성과로 사업단의 신입생 충원율 100%,졸업생 취업률의 획기적인 향상(사업시작년도인 2004년 58.9%에서 2008년 74.7%),교원확보율의 증가(2004년 63.8%에서 2008년 91.9%),실무형 교과과정 개선 년 2000여건,참여기업의 만족도 81% 등과 같이 구체적이면서 가시적인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누리 사업의 목적은 각 지방대학에서 졸업 후 바로 사회에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우수 인재를 양성해 배출하고,지역의 연관기업과 연계해 특성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수도권 위주의 발전기반을 각 지역으로 배분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양질의 토양을 만드는 국가 차원의 '교육적 처방'인 것이다.
누리사업은 대학원생 대상의 과학기술 핵심인력 양성사업인 BK21사업,산학협력 등 연구사업 목적의 RIC사업과 달리 지역에서 양성된 인재가 사회에서도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보다 효율적인 사업이다. 문제는 100년을 내다보는 교육사업의 일환이기 때문에 올해 완료되는 1단계 사업으로는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지난 5년간은 지역사회와 연계해 대학의 특성에 맞게 개선 및 보완작업을 거쳐 사업의 토대를 다지는 과정이었다. 때문에 누리사업협의회는 얼마 전부터 누리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2단계 사업을 추진해왔고 최근 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들어갔다.
2단계 사업의 핵심은 정부의 지원이 없더라도 대학과 지역 자체적으로 자생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을 거쳐야만 누리사업의 성과가 국가 발전에도 이바지하는 단계에 올라갈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관심과 더불어 각 지역 인재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사업에 동참하는 적극성이 필요하다.
어떤 사업이든 과도기의 시기는 있는 법이다. 향후 10년 정도의 시간을 두고 누리사업을 꾸준히 전개한다면 국가 균형발전이라는 과업을 달성하는 데 큰 힘을 보탤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