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지난 26일부터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고시에 맞춰 총파업에 들어갔지만 '실체 없는 유령파업'이라는 지적이 많다.

민노총 간부를 비롯한 500명 미만의 일부 '프로 시위대'를 중심으로 민노총 조직의 1%도 안 되는 조합원만이 전국 17개 냉동창고에서 운송 저지와 촛불집회 현장에 동원되고 있을 뿐이다.

실제 민노총 지도부가 총파업을 선언한 이후 26∼27일 전국 17개 냉동창고에는 창고당 20∼40여명의 간부 중심 민노총 조합원만이 저지 시위를 벌였다.

주중 전국 작업장 어디에서도 정치파업에 돌입한 곳은 없었고 주말 들어서도 단 한 군데 사업장도 파업을 선언하지 않았다.

대외적으로 총파업이라고 거창하게 홍보했지만 실제로는 실체가 없는 허풍파업을 선언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아무리 찾아봐도 파업에 돌입한 민노총 소속 사업장은 파악되지 않고 민노총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결국 전국적으로 500명 미만의 조합원만이 소위 '총파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민노총이 편승한 촛불집회 참여 조합원을 합치더라도 숫자는 최대 1만명을 넘지 않는다.

현정부를 두고 1%만을 위한 정부라 비판하던 민노총이 역설적으로 자신들 조합원 80만명 중 1%가량만이 동참하는 정치파업을 강행하고 있는 셈이다.

총파업이 유령파업이라는 것은 파업 선언 때부터 예견됐었다.

민노총 산하 핵심 지부의 하나인 현대자동차지부 노조원들은 총파업과 쇠고기파업 등 정치파업에 대해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혔다.

현대차 노조원들은 금속노조가 실시한 파업 찬반투표에 대해 절대다수가 반대 의사를 표했다.

자동차가 쇠고기 때문에 파업에 들어가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는 의견이 현대차 게시판을 매울 정도였던 것도 총파업의 정당성에 의문을 던졌기 때문이다.

결국 쇠고기 총파업의 동력은 약해졌고 소수에 의한 쇠고기 반출 저지는 총파업을 선언한 민노총의 한계를 극명하게 드러낸 것이란 지적이다.

쇠고기 반출 저지에 나섰던 일부 노조원이 밤에 열리는 촛불집회에 참석하는 돌려막기식 파업 행태도 동력을 잃은 총파업의 후유증이라는 것.

이에 대해 한 노동문제 전문가는 "남의 집 제삿상에 '총파업' 신위만 대신 올려놓은 꼴"이라고 비판했다.

민노총이 이처럼 유령파업,간부파업을 강행하는 이유로는 "과거 민노총 지도부가 공언한 대로 관보 게재 즉시 총파업에 돌입하지 않으면 민노총이 촛불시위에 찬물을 끼얹는 셈"이라는 민노총 내 강경파의 목소리가 반영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파업 동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민노총은 각 사업장의 임ㆍ단협 파업에 편승해 정치파업의 불씨를 이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총파업을 선언했음에도 참여자가 적고 실제로 총파업에 나선 사업장이 없는 것은 조합원들이 외면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을 면키 어렵다.

김동욱/성선화/이재철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