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전북 현대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받으면서 저축은행발(發) 금융위기가 현실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1년 새 자산 1조원 미만인 중소형 저축은행 네 곳이 잇달아 문을 닫은 데다 그동안 상당한 수익을 내 온 대형 저축은행들도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 급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어서다.

감독기관인 금융감독원조차 올 상반기에 PF 대출 연체율이 최고조에 달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저축은행 관계자는 "PF 부실이 일부사 경영에 타격을 줄 수 있지만 업계 전체적으로 재무구조는 안정된 편"이라고 설명했다.

◆대출 관리 허술한 중소형 저축은행

현대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받게 된 이유는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급등해서다.

대출을 받은 기업이 이자를 제때 못 내 부실 여신이 늘어 대규모 대손충당금을 쌓게 돼 결국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40%대로 떨어진 것이다.

또 대주주가 특정 회사에 90명 명의로 분산해 대출,사실상 동일인 여신 한도를 위반한 것도 부실의 또 다른 원인이 됐다.

1개월 전 분당저축은행도 중소기업 대출 관리를 허술하게 해 경영 상태가 나빠져 문을 닫았으며 작년 5월 포항의 경북저축은행도 불법 대출로 인해 BIS 비율이 급락해 영업정지를 받았다.

저축은행업계는 향후 부실화 가능성이 있는 지방의 소형 저축은행이 3~4개는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 12월 말 기준 108개 저축은행 중 BIS 비율이 5% 미만으로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곳은 6곳이다.

이 중 이미 영업정지된 분당,현대저축은행을 제외하면 4곳이 더 있다는 얘기다.

◆대형 저축은행은 PF발 위기

더 큰 문제는 대형 저축은행들이 물려 있는 PF 대출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은 12.4%로 집계됐다.

여기에 저축은행들이 작년 6월부터 추진 중인 PF 자율 워크아웃에 포함된 연체채권을 포함하면 PF 대출 연체율은 18.8%로 껑충 뛰게 된다.

현재 PF 자율 워크아웃 사업장은 모두 22개며 대출액은 총 7000억원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PF 자율 워크아웃에 들어가면 해당 여신은 3개월 이상 연체돼도 최장 2년 동안 정상 또는 요주의 채권으로 분류돼 연체율에 포함되지 않는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2004년부터 2007년 초까지 급증했던 PF 대출 만기가 대부분 올 2분기 말에 돌아온다"며 "이때 PF 대출 연체율이 사상 최고 수준인 21% 내외로 올라갈 수 있는 만큼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