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S사에 다니는 김범상씨(가명ㆍ45)는 요즘 환율 때문에 속이 편하지 않다.

지난해 10월 일본 증시가 반등할 것을 기대하고 가입한 일본 펀드의 수익률이 줄곧 하락세를 보여 지금은 27% 정도의 손실을 나타내고 있다.

대부분 해외 펀드들의 수익률이 안 좋으니 도리없다 싶어 맘을 다잡았지만 문제는 비슷한 시기에 같은 펀드에 가입한 친구의 손실폭이 7%에 불과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흥분을 가라앉힐 수 없었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김씨가 이처럼 친구보다 손실이 컸던 것은 펀드 가입 당시 환 헤지를 했기 때문이다.

환 헤지는 투자 대상국의 통화 가치가 하락할 때 입는 손실을 막기 위해 환매 때 환율을 현재 시점의 환율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김씨의 경우 환 헤지를 해 작년 하반기 이후 일본 엔화가 급등하면서 발생한 엔화 가치 상승분을 빨아들이지 못한 반면 환 헤지를 안한 친구는 그 상승분을 고스란히 수익으로 챙겼다는 얘기다.

요즘 원ㆍ달러 및 원ㆍ엔 환율이 급등하면서 김씨처럼 환 헤지를 한 투자자와 하지 않은 투자자 간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23일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삼성당신을위한N재팬주식종류형1A' 펀드의 경우 환 헤지를 한 투자자는 연초 대비 22.7%의 손실을 입었지만 환 헤지를 안한 사람은 손실률이 4.7%에 불과했다.

똑같은 펀드라도 환 헤지 여부에 따라 무려 20%의 수익률 차이가 발생한 셈이다.

수익을 내도 마찬가지다.

남미 주식에 투자하는 '삼성라틴아메리카주식종류형자IA'의 경우 환 헤지를 한 상품은 연초 이후 0.4%의 수익을 거두고 있다.

그러나 헤지를 안한 상품은 수익률이 6.9% 수준이다.

그렇다면 헤지를 안하는 게 능사일까.

전문가들은 환율 변동보다는 펀드의 수익에 초점을 맞추는 원론적인 펀드 투자 관점에선 환 헤지를 하는 게 옳다고 얘기한다.

한국펀드평가 신건국 과장은 "환율을 보고 투자하려면 환율을 잘 예측해야 한다"며 "하지만 환율은 주가만큼 변동성이 커 흐름을 예측하기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신 과장은 특히 "환율을 통해 이익을 냈다 하더라도 결과론적으로 그렇다고 얘기할 수 있을 뿐 원칙적으로는 환 헤지를 통해 환 위험을 없애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다만 환 헤지를 할 경우에는 비용이 추가로 든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통상 펀드 가입 금액의 0.3~1%를 비용으로 매년 부담해야 한다는 것.따라서 전문가들은 이 같은 비용이 부담스러워 환 헤지를 안한다면 자신이 장기 투자 및 다국가 투자 등의 조건에 맞는지를 먼저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투자기간이 길면 환율 등락을 통해 안정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 특정 국가가 아닌 여러 지역에 분산 투자할 경우에는 환율에 따른 가치 하락과 가치 상승이 서로 상쇄될 가능성이 크다는 이야기다.

임상택 기자 lim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