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돈까지 보장해준다는데도 수요자들이 안 몰려요.뭘 더할 수 있겠습니까?"

중견 건설업체 N사 분양담당 관계자는 요즘 주택시장 분위기를 묻는 질문에 한숨을 내쉬며 이같이 답했다.그는 "건설사들이 미분양 물량 해소를 위해 온갖 묘안을 짜내고 있지만 좀처럼 답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소연했다.

이 회사는 2006년 11월 경상북도 포항에서 아파트 300여 가구를 분양했으나 30% 수준의 저조한 청약률을 기록했다.정식 청약기간이 끝난 후 미분양 물량에 대해 진행된 선착순 분양에서도 성적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고심 끝에 분양 5개월 만인 지난해 4월 '웃돈 보장'이라는 파격적인 마케팅을 시작했다.입주 6개월 후인 2009년 12월까지 이 아파트 시세가 분양가 3억~3억6000만원에서 1000만원 이상 오르지 않으면 미달된 액수만큼 보상해주기로 한 것이다.

입주자들로서는 1000만원의 시세차익이 보장된 셈이었다.계약금은 1000만원만 내면 되고 중도금은 전액 무이자로 융자받을 수 있어 이자손실도 거의 없었다.

하지만 이마저도 신통치 않은 성과를 냈다.올초까지도 전체 가구의 절반가량이 미분양으로 남았다.N사는 결국 웃돈보장 마케팅을 접고 말았다.

건설사들이 고심 끝에 내놓은 다른 마케팅 아이디어들도 결과가 비슷하다.K건설은 경기도 안성에서 이달 아파트 1100가구를 분양하면서 1000만원 상당의 비용이 드는 발코니 트기 및 새시설치를 무료로 해주기로 했다.이런데도 이 아파트는 지난 5일 1순위 청약에서 단 89명이 신청하는 데 그쳤다.

부동산 시장에서 온갖 묘안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물량이 줄지 않는 것은 수요예측에 실패한 건설사들에 1차적인 책임이 있다.수도권에선 피부에 와닿을 만큼 분양가를 낮추지 않아 소비자에게 외면을 당하고 있다.

여기에 보유세 부담을 늘리고 대출규제까지 강화해 미분양 확산에 일조했다.웃돈을 보장받아도 주택구입을 망설일 수밖에 없는 소비자의 마음을 정부가 헤아릴 때다.

임도원 건설부동산부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