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금리가 하락하면서 단기 채권형 상품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습니다. 자금의 단기부동화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채주연 기자입니다. 단기 부동화란 만기가 6개월 미만인 단기 상품에 자금이 몰리거나 자금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빈번하게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CG) 최근 콜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른 시중금리 하락, 세계경기 둔화 우려와 증시 불안까지 겹치면서 시중자금이 단기상품으로 몰려들고 있습니다. (CG) 대내외 주가 급락으로 기대수익률이 크게 떨어진 주식형펀드로의 자금 유입이 확연하게 줄어든 반면 머니마켓펀드 등 단기 채권형펀드에는 뭉칫돈이 유입됐습니다. 이같은 단기 부동화는 금융시장이 불안할 때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장기간 지속되면 부작용이 생깁니다. (CG) 기업들이 장기자금을 확보하지 못해 실물경제가 침체될 수 있고, 시중자금이 너무 자주 이동하면 금리나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지게 됩니다. (CG) 금융회사 역시 수신 단기화로 자금 운용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S)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최근의 자금 흐름을 단기부동화로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주요국들의 성장률 하락 가능성과 주가급락 여파로 단기부동화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은행 정기예금으로 자금이 유입되면서 '머니무브' 현상은 완화되고 있지만 은행들이 공격적으로 확대했던 중소기업 대출은 부실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S)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이 계속 낮아지고 있고, 연체율 역시 지난해 2분기부터 상승세로 전환된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WOW-TV NEWS 채주연입니다. 채주연기자 jycha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