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학부모와 학생들의 사교육 의식과 사교육비 실태(實態)를 직접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무엇보다 사교육비가 정부 예산의 10분의 1 수준에 달하며 1인당 사교육비가 22만2000원에 이른다는 점은 우려되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월 평균 사교육비로 50만원 이상을 쓰는 학생이 전체의 9%를 넘고 대졸 학부모의 90%가량이 사교육비를 쓰고 있다는 것은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학원 수강료와 과외비 등을 대느라 엄청난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얘기와 다름 아니다.
문제는 영어공교육 강화,대학입시 3단계 자율화,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 등 새 정부의 국정과제가 중장기적으로 하향평준화로 인해 경쟁력을 잃고 있는 우리나라를 인재대국으로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은 부인하기 힘들지만 단기적으로는 사교육비 부담 증가를 초래할 우려가 적지않다는 점이다.
학교 영어수업을 따라가기위한 사교육이 번창하고 방학을 이용한 단기 연수가 급증할 것인데다 특수목적고에 이어 자율형 사립고 진학을 목표로 한 입시 경쟁이 치열(熾烈)해질 것이 불보듯 뻔한 까닭이다.
따라서 사교육비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이 하루빨리 나와야 한다는 점은 강조할 필요조차 없다.
이를 위해 공교육부터 정상화되어야한다.
내실있는 교원평가제를 통해 교사들의 학습능력을 제고하고 학교 간 경쟁을 활성화하는 것이 절실하다.
아울러 대입전형 방식을 미리 확정한 뒤 일관성 있게 추진하며 취약계층 자녀 등에 대한 장학제도를 강화해 교육 양극화가 심화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