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아파트가 11만가구를 넘어서는 등 주택시장 침체가 깊어지면서 분양대행업체들도 일감 확보에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초기 계약률이 저조할 경우 자칫 사전영업비용 손실 등으로 큰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양대행업체들은 분양 전망이 불투명할 것으로 판단되는 지방이나 수도권 외곽 소형단지 등은 아예 용역수주를 포기하고 있다.

또 이미 분양 중인 단지도 계약률 저조로 시행사나 건설업체와 당초 계약조건을 완화해가면서 '버티기'를 하고 있다.이로써 중ㆍ소대행업체들의 상당수는 현재 심각한 경영난에 봉착해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중견 분양대행업체인 A사는 남양주의 한 개발업체로부터 마케팅 용역 의뢰를 받았으나 거절했다.처음엔 장기적인 일감 확보 차원에서 긍정적인 검토도 해봤지만,분양 전망이 좋지 않아서 결국 포기했다.

분양대행업체들은 통상 분양 시작 이전에 홍보ㆍ시장조사 등을 위해 직원들을 투입하고,모델하우스 도우미를 고용하는 등 사전 마케팅 활동을 벌인다.모델하우스 개장 이전 주변에 플래카드를 거는 일 등도 대부분은 대행사 몫이다.

여기에 투입되는 비용이 1000가구 이상 대단지일 경우 보통 2억~5억원을 넘기도 한다.이렇게 쏟아부은 비용은 아파트 분양이 끝난 이후에 계약률에 따라 지급되는 용역비에서 회수된다.

분양수수료는 입지와 주택단지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아파트 한 채당 분양가의 0.3% 안팎이다.3억원대 아파트를 한 가구 팔면 100만원 정도가 떨어지는 셈이다.

그러나 요즘 같은 분양시장 침체 상황에서는 용역비는 고사하고 사전 영업비만 날리는 경우가 다반사다.

실제로 최근 신규분양이 많았던 고양 등 수도권 북부지역과 지방에서는 이 같은 업체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최근 들어 대행업체들이 대행계약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자 일부 건설업체와 시행업체들은 사전 마케팅 비용을 보전해 주는 계약방식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