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진출한 대만 홍콩 한국 등의 노동집약적 중소기업들이 노동자 권익을 강화한 신노동법 발효와 위안화 강세 등으로 경영 여건이 악화되면서 줄도산 위기를 맞고 있다.

춘절(설) 이후 중국 상무부가 수출 부가가치세 환급 금지 품목 1000개를 발표,저부가가치 업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것으로 보여 경쟁력이 떨어지는 아시아 기업들의 '엑소더스(탈출)'도 급증할 전망이다.

중국 광둥성에서 발행되는 난팡바오는 30일 선전가공무역기업협회 천융한 회장의 말을 인용,"홍콩 대만 기업이 집중돼 있는 광둥성에서만 춘절 전후로 1만2000개 기업이 문을 닫을 것"이라고 보도했다.천 회장은 "종업원 수천명 선의 한 기업이 문을 닫으면 연관된 20여개의 회사가 타격을 입는다"며 "춘절 이후 공장 폐쇄가 도미노처럼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더욱 커진 '차이나 리스크' … 홍콩 · 대만기업 줄줄이 도산
문을 닫을 위기에 처한 아시아계 기업은 내륙으로 들어가거나 아니면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했다.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도 홍콩산업연합회 라우 친호 회장의 말을 통해 중국 정부가 환경오염 및 에너지 다소비 기업을 억제하기 위해 현재 590개인 부가세 환급 금지 대상 품목에 1000개를 추가할 것이라고 전하고 이 같은 조치는 신노동법에 이은 또 다른 한파라고 보도했다.라우 회장은 부가세 환급 금지 대상 확대로 정상적인 경영이 불가능한 기업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우려했다.

홍콩과 대만 기업들이 많이 입주한 광둥지역에서는 이미 작년 말부터 공장문을 닫는 기업이 속출하고 있다.홍콩경제일보는 둥관지역에서만 올 들어 500여개 대만 기업이 사업을 접었다고 보도했다.

난팡바오도 광둥지역 6000여개의 신발제조 업체 중 1000곳이 작년에 문을 닫았으며 올 들어서 이미 400~500개가 공장을 폐쇄했다고 전했다.이에 따라 과거와 달리 납품업체와 은행들이 춘절 전에 대금 결제를 요구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

칭다오에 몰려 있는 한국 중소기업들 중에서도 임금 인상과 각종 부대비용 증가에 따른 경영난을 견디지 못해 지난해 73개 업체가 청산 절차를 제대로 거치지 않고 도피했다.

아시아 기업들의 줄도산과 엑소더스는 △신노동법 발효에 따른 노동계약서 작성 최종 기한이 이달 말로 끝나 모든 기업이 다음 달부터 신노동법의 규제를 받는 데다 △환경오염 및 에너지 절약과 관련한 중국 정부의 규제가 강화될 전망이고 △금리와 위안화 가치가 가파르게 올라 20년 만에 최악의 경영환경을 맞고 있기 때문이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