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새 정부의 지방발전 전략을 담은 광역경제권 구상을 어제 내놓았다.

전국에 수도권,충청권,호남권,대경권(대구 경북),동남권(부산 경남) 등 5대 광역 경제권과 강원도,제주특별자치도 등 2대 특별 광역경제권을 설정해 '창조적 광역발전'을 이루겠다는 게 골자(骨子)다.

이를 위해 각 지역에 사업을 전담할 광역경제권 본부를 설치하고 관련부처 보조금 등으로 광역경제권 특별회계를 운영하며,지역별 선도기반이 될 수 있는 신성장동력 거점을 조성하는 등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마련키로 했다고 한다.

경제권역은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데도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유사한 사업들을 경쟁적으로 추진하면서 엄청난 예산낭비와 지역간 갈등유발 등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는 현실에 비춰보면 이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게다가 글로벌체제에서 지역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선 광역경제권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고 보면 더욱 그러하다.

지역의 지속적인 성장과 지역간 균형발전이 중요한 과제인 것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역대 정부가 낙후지역을 지원한다는 명분 등을 내세워 공공기관 이전 등 지역균형발전정책을 경쟁적으로 추진한 것도 그러한 연유에서다.

하지만 지역간 갈등을 부추긴다는 이유 등으로 국회가 관련법 마련에 제동을 걸면서 실효를 거두지 못해온 게 우리의 현실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구상이 과연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천에 옮겨질 수 있느냐가 관건인 것은 물론이다.더구나 이번 발표내용만 보면 아직 구상에 불과할 뿐이라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지역간 협력사업을 기획하고 조정하는 기능을 맡을 지역본부를 지방이 자율적으로 구성하도록 한다지만 제대로 이행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게다가 광역경제권이 기업에 매력적인 투자처로 인식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한 만큼 자본유치도 만만찮은 실정이다.

무엇보다 걱정인 것은 행정구역 개편없이 과연 순탄하게 전국이 광역경제권으로 재편(再編)될 수 있느냐는 점이다.

따라서 새 정부는 관련 법규 제정을 비롯 사업추진에 필요한 재원 마련,민간자본 유치 방안 등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무리하게 밀어붙이기를 시도해서는 결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