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설의 '경영 업그레이드'] 국가 경쟁력 위원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997년 당시 기자는 전국경제인연합회를 출입하고 있었다.
연초부터 "그래도 펀더멘털(기초)은 튼튼하다" "아니다,큰 위기가 온다"는 등 심상찮은 얘기가 오가더니 그 해 연말 정부는 결국 국제통화기금(IMF)으로 달려갔다.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꼭 10년 전 이맘때는 위기를 누가 초래했는가 하는 책임론과 원인 분석이 쏟아져 나올 때였다.
새 대통령이 당선된 직후라 분위기도 무거웠고 전경련을 포함한 기업들이 위기를 초래한 장본인으로 몰리는 분위기였다.
당시로서도 그러나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 있었다.
"나라 경제가 어찌돼 가는지 지켜보는 기구나 기관,단체가 하나도 없었단 말인가?" 나라의 살림부터 체력까지 우리의 현재 수준은 어떠하며, 5년 뒤 10년 뒤엔 어찌될지 지켜보고 있는 조직이나 기관은 실제로 없었다.
그것이 결국 위기의 한 요인은 아니었을까.
생각할수록 아쉬운 것이 몇 해 전 유명무실화된 전경련의 국가경쟁력강화 민간위원회였다.
전경련이 국가경쟁력강화 민간위원회를 만든 것은 1990년대 초 고 최종현 회장 시절이었다.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비정기적이긴 했지만 정부 각료들을 초청해 민관 합동 국가경쟁력강화회의를 갖기도 했다.
그러던 것이 최 회장의 뒤를 이은 김우중 당시 대우 회장이 민간과 정부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특별위원회로 격상시키려다 국민의 정부가 시큰둥한 반응을 보여 없었던 일이 되고 말았다.
그 바람에 전경련의 민간위원회마저도 사라지고 말았다.
사실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는 세계적으로 역사가 깊다.
미국의 경우는 민간 주도의 국가경쟁력위원회가 1986년 만들어졌다.
1980년대 일본의 경제적 공습에 충격받은 미국 기업인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것이었다.
이 위원회는 2003년에는 산하에 국가혁신구상(National Innovation Initiative)을 따로 발족시켜 국가혁신 아젠다를 도출했다.
이 아젠다는 '미국을 혁신하라!(Innovate America!)'라는 보고서로 채택돼 미국의 정ㆍ재ㆍ학계 지도자들이 모두 참석하는 국가혁신지도자회의(National Innovation Summit)에 보고됐고 상당수의 제안들이 법제화됐다.
캐나다의 경우는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를 목표로 2002년 민관 공동으로 '혁신과 학습을 위한 국가지도자 회의'를 개최했다.
이 밖에 유럽연합,호주,불가리아,말레이시아 등을 포함해 국가 경쟁력만 중점적으로 논의하는 조직을 갖고 있는 나라가 20개 가까이 된다.
비교적 다른 나라에 앞서 경쟁력위원회를 만들었던 우리는 정ㆍ재계의 관계가 소원해지면서 시간을 허비한 셈이다.
다행히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해 말 전경련 회장단을 만나는 자리에서 전경련이 요청한 민관 합동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를 흔쾌히 받아들였다니 정말 다행스러운 소식이다.
인수위원회에도 국가경쟁력강화특위가 따로 있으니 기대가 크다.
2004년 10월 '국가혁신포럼'에서 처음 '민간이 참여하는 혁신 지도자회의를 만들자'고 제안한 이래 2006,2007년 두 차례 열린 '대한민국 혁신포럼'을 통해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의 필요성을 제기해 온 한국경제신문으로서는 감개무량한 일이다.
오는 2월 국제 포럼으로 열리는 '글로벌 이노베이션 포럼'은 주한 외교사절까지 초청해 각국 국가경쟁력강화회의와 국제적 연합체를 구성하는 방안도 논의하게 된다.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를 다시 찾는 데도 꼭 10년이 걸렸다.
한경 가치혁신연구소장 yskwon@hankyung.com
연초부터 "그래도 펀더멘털(기초)은 튼튼하다" "아니다,큰 위기가 온다"는 등 심상찮은 얘기가 오가더니 그 해 연말 정부는 결국 국제통화기금(IMF)으로 달려갔다.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꼭 10년 전 이맘때는 위기를 누가 초래했는가 하는 책임론과 원인 분석이 쏟아져 나올 때였다.
새 대통령이 당선된 직후라 분위기도 무거웠고 전경련을 포함한 기업들이 위기를 초래한 장본인으로 몰리는 분위기였다.
당시로서도 그러나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 있었다.
"나라 경제가 어찌돼 가는지 지켜보는 기구나 기관,단체가 하나도 없었단 말인가?" 나라의 살림부터 체력까지 우리의 현재 수준은 어떠하며, 5년 뒤 10년 뒤엔 어찌될지 지켜보고 있는 조직이나 기관은 실제로 없었다.
그것이 결국 위기의 한 요인은 아니었을까.
생각할수록 아쉬운 것이 몇 해 전 유명무실화된 전경련의 국가경쟁력강화 민간위원회였다.
전경련이 국가경쟁력강화 민간위원회를 만든 것은 1990년대 초 고 최종현 회장 시절이었다.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비정기적이긴 했지만 정부 각료들을 초청해 민관 합동 국가경쟁력강화회의를 갖기도 했다.
그러던 것이 최 회장의 뒤를 이은 김우중 당시 대우 회장이 민간과 정부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특별위원회로 격상시키려다 국민의 정부가 시큰둥한 반응을 보여 없었던 일이 되고 말았다.
그 바람에 전경련의 민간위원회마저도 사라지고 말았다.
사실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는 세계적으로 역사가 깊다.
미국의 경우는 민간 주도의 국가경쟁력위원회가 1986년 만들어졌다.
1980년대 일본의 경제적 공습에 충격받은 미국 기업인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것이었다.
이 위원회는 2003년에는 산하에 국가혁신구상(National Innovation Initiative)을 따로 발족시켜 국가혁신 아젠다를 도출했다.
이 아젠다는 '미국을 혁신하라!(Innovate America!)'라는 보고서로 채택돼 미국의 정ㆍ재ㆍ학계 지도자들이 모두 참석하는 국가혁신지도자회의(National Innovation Summit)에 보고됐고 상당수의 제안들이 법제화됐다.
캐나다의 경우는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를 목표로 2002년 민관 공동으로 '혁신과 학습을 위한 국가지도자 회의'를 개최했다.
이 밖에 유럽연합,호주,불가리아,말레이시아 등을 포함해 국가 경쟁력만 중점적으로 논의하는 조직을 갖고 있는 나라가 20개 가까이 된다.
비교적 다른 나라에 앞서 경쟁력위원회를 만들었던 우리는 정ㆍ재계의 관계가 소원해지면서 시간을 허비한 셈이다.
다행히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해 말 전경련 회장단을 만나는 자리에서 전경련이 요청한 민관 합동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를 흔쾌히 받아들였다니 정말 다행스러운 소식이다.
인수위원회에도 국가경쟁력강화특위가 따로 있으니 기대가 크다.
2004년 10월 '국가혁신포럼'에서 처음 '민간이 참여하는 혁신 지도자회의를 만들자'고 제안한 이래 2006,2007년 두 차례 열린 '대한민국 혁신포럼'을 통해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의 필요성을 제기해 온 한국경제신문으로서는 감개무량한 일이다.
오는 2월 국제 포럼으로 열리는 '글로벌 이노베이션 포럼'은 주한 외교사절까지 초청해 각국 국가경쟁력강화회의와 국제적 연합체를 구성하는 방안도 논의하게 된다.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를 다시 찾는 데도 꼭 10년이 걸렸다.
한경 가치혁신연구소장 yskw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