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탁회사들이 사망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신탁하는 상품을 앞다퉈 출시했다. 현재 보험금청구권을 신탁할 수 있는 신탁회사는 국민은행 등 시중은행, 증권 또는 신탁업을 겸업하는 생명보험사가 있다. ○보험금청구권 신탁 시 주의할 점신탁 관련 법령의 개정으로 사망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인 보험금청구권을 신탁회사에 맡기고, 신탁회사는 고객 사망 이후까지 이를 관리해 미리 정한 시기와 조건에 따라 유가족에게 지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됐다.법 개정 전에는 보험계약자가 사망하는 경우 유가족이 일시에 사망보험금을 수령하는 것만 가능했다. 이번 법 개정으로 유가족 대신 신탁회사가 보험금을 수령해 관리하고, 유가족은 미리 정한 시기에 일시 또는 분할해 지급받을 수 있게 됐다. 유가족의 재산 관리를 돕기 위해 보험금청구권 신탁이 허용된 것이다. 특히 재산 관리의 경험이나 능력이 부족한 미성년 자녀나 장애인 등의 유가족이 보다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보험금을 관리·운영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신탁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예를 들어 생명보험계약에 가입한 A가 본인의 사망으로 미성년 자녀가 보험금을 수령해 성년이 될 때까지 보험금 관리를 잘할 수 있는지 걱정이 되는 경우 또는 성년인 자녀가 이를 한 번에 받아서 탕진할지 걱정되는 경우 이런 신탁을 활용할 수 있다. A가 보험금을 받을 권리를 은행에 맡기면서 본인이 사망하면 은행이 이를 대신 수령해 관리하고, 미성년 자녀가 성년이 될 때까지 매달 일정 금액을 지급하고 성년이 되면 남은 금액을 수령하도록 정할 수 있다. 또는 성년의 자녀가 A의 사망 후 A가 정한 기간 예를 들어 10년간 일정
연금 계좌에서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려는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정기예금 등 원리금 보장형 상품으로는 물가 상승률을 따라잡을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손쉽게 투자할 수 있는 ETF 수요가 늘었다. ETF 시장이 확대되면서 투자 대상을 다양하게 고를 수 있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연금에서 ETF를 투자하는 ‘연금 개미’들은 주로 미국 ETF에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다. ○빠르게 늘어나는 ETF 연금 투자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연금 계좌에서 ETF에 투자한 금액은 올 상반기 말 기준 27조1750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말 8조9399억원에서 1년 반 만에 세 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증권사는 퇴직연금(확정기여형, 개인형퇴직연금) 계좌와 개인연금 계좌를, 은행은 퇴직연금 계좌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현재는 은행 개인연금 계좌로는 ETF에 투자할 수 없다.은행을 통한 연금 가입자의 ETF 투자 증가세가 특히 두드러졌다. 2022년 말 은행 연금 계좌에서 ETF에 투자한 금액은 4089억원에 불과했지만, 올 상반기에는 2조4048억원으로 여섯 배 가까이 불었다. ETF 투자 수요가 급증하면서 은행 증권사 등 판매사들이 연금 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는 ETF 상품을 빠르게 늘린 결과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지금과 같은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은행에서 ETF에 투자하는 자금이 연말에는 3조6000억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퇴직연금 계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연금 개미’가 늘어난 게 ETF 투자 금액이 증가한 배경으로 꼽힌다. 홍준영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연금솔루션 본부장은 “ETF는 판매보수가 없기 때문에 판매사의 권유보다는 스스로 가입하는 투자자가 많은 고관여 상품”이라며 “
최근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한 테마나 업종 투자 전략 여럿은 미국 대선을 전후로 바뀌었다. 하지만 대선과 무관하게 투자자의 관심이 이어진 ETF 테마가 있다. 사이버보안 ETF다.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은 인터넷 도입 후 인터넷의 사용 역사와 함께해왔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주가 리레이팅 추세가 뚜렷하다. 이유는 분명하다. 먼저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 환경에서의 보안 중요성이 높아졌다.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진보하면서 다차원적 사이버 보안 필요성도 커졌다. 기업의 사이버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전쟁 등 지정학적 갈등이 커지면서 국방·안보 차원에서의 사이버 보안 투자도 늘고 있다.관련 ETF 성과도 괄목할 만하다. 주요 ETF인 퍼스트 트러스트 나스닥 사이버보안 ETF(CIBR), 앰플리파이 사이버보안 ETF(HACK) 등은 최근 1년간 각각 30% 안팎으로 상승했다.CIBR과 HACK 두 ETF 모두 보안 관련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서비스·하드웨어, 안보 기업 등 사이버보안 산업과 관련된 기업을 담는다. 사이버보안 관련 ETF 중 규모가 가장 큰 CIBR은 2015년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나스닥 CTA 사이버보안 지수를 추종한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시스코시스템즈, 팔로알토네트웍스, 브로드컴, 인포시스 등 33개 종목으로 구성돼 있다. 운용자산 규모는 73억달러, 운용 보수는 연 0.59%이다.HACK은 2014년부터 운용된 ETF로 나스닥 ISE 사이버보안 셀렉트 지수를 추종한다. 브로드컴, 시스코시스템즈, 크라우드스트라이크, 팔로알토, 포티넷이 상위 종목으로 약 26개의 종목을 담고 있다. 운용자산 규모는 19억달러, 운용 보수는 0.6%이다.사이버보안은 대표 개별주의 주가 상승세가 지난 몇 년간 지속돼 개별주의 투자 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