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2007] 이전 대선과 차이점…관권개입ㆍ지역주의ㆍ색깔론 시비 없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번 17대 대통령 선거는 이전 선거와 확연히 구분되는 몇 가지 특징을 보였다.
우선 대선 때마다 단골 메뉴였던 이른바 '북풍(北風)'이 사라졌다.
14.15대 대선을 포함,지금까지는 안보 위험을 조장해 보수표를 결집시키기 위한 시도로 북풍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후보들의 이념적 성향을 문제삼은 색깔론도 주요 이슈로 등장했다.
이번 대선에서는 반대로 남북 화해무드를 정략적으로 활용하지 않을까 하는 '역(逆) 북풍' 시비가 일기도 했다.
대선을 불과 2개월여 앞둔 시점에서 남북 정상회담이 이뤄졌고 남북 경협과 관련한 굵직한 합의가 이뤄졌지만 선거에 이렇다 할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게 중론이다.
선거 직전 이뤄진 김영일 북한 내각총리와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의 방문을 놓고 선거판의 반전을 노린 '북풍' 시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곧 사그라들었다.
남북 정상회담에 대해 강한 경계감을 표시하면서 회담연기론을 펼친 한나라당이 무색할 정도였다.
북측도 선거에 대한 언급을 삼갔다.
조선중앙통신 등에서 한나라당 대선 후보에 대한 비판을 몇 차례 하긴 했지만 '도발'이라고 부를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전 선거와 달리 북풍과 색깔론의 위세가 약화된 것은 지난 10년간 화해무드가 조성된 결과로 해석된다.
남북 관계가 더 이상 선거의 변수로 작용하지 않게 됐다는 것이다.
관권선거 시비가 사라진 것도 이번 대선의 특징이다.
과거 국세청 등을 통한 선거자금 동원이 이뤄졌고 국정원 등 정보기관들이 선거에 개입하려는 시도 등이 이번에는 전혀 없었다.
막판 노무현 대통령의 BBK 재조사 지시로 선거 개입 시비가 불거지기도 했지만 정치적 쟁점으로 비화되지는 않았다.
선관위에 따르면 공무원의 선거 개입도 지난 16대 대선의 23건에서 9건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선관위는 과거 대표적인 불법 선거 운동 사례로 꼽혔던 금품 제공이나 관권 선거,청중 동원이 거의 사라졌다고 강조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
우선 대선 때마다 단골 메뉴였던 이른바 '북풍(北風)'이 사라졌다.
14.15대 대선을 포함,지금까지는 안보 위험을 조장해 보수표를 결집시키기 위한 시도로 북풍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후보들의 이념적 성향을 문제삼은 색깔론도 주요 이슈로 등장했다.
이번 대선에서는 반대로 남북 화해무드를 정략적으로 활용하지 않을까 하는 '역(逆) 북풍' 시비가 일기도 했다.
대선을 불과 2개월여 앞둔 시점에서 남북 정상회담이 이뤄졌고 남북 경협과 관련한 굵직한 합의가 이뤄졌지만 선거에 이렇다 할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게 중론이다.
선거 직전 이뤄진 김영일 북한 내각총리와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의 방문을 놓고 선거판의 반전을 노린 '북풍' 시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곧 사그라들었다.
남북 정상회담에 대해 강한 경계감을 표시하면서 회담연기론을 펼친 한나라당이 무색할 정도였다.
북측도 선거에 대한 언급을 삼갔다.
조선중앙통신 등에서 한나라당 대선 후보에 대한 비판을 몇 차례 하긴 했지만 '도발'이라고 부를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전 선거와 달리 북풍과 색깔론의 위세가 약화된 것은 지난 10년간 화해무드가 조성된 결과로 해석된다.
남북 관계가 더 이상 선거의 변수로 작용하지 않게 됐다는 것이다.
관권선거 시비가 사라진 것도 이번 대선의 특징이다.
과거 국세청 등을 통한 선거자금 동원이 이뤄졌고 국정원 등 정보기관들이 선거에 개입하려는 시도 등이 이번에는 전혀 없었다.
막판 노무현 대통령의 BBK 재조사 지시로 선거 개입 시비가 불거지기도 했지만 정치적 쟁점으로 비화되지는 않았다.
선관위에 따르면 공무원의 선거 개입도 지난 16대 대선의 23건에서 9건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선관위는 과거 대표적인 불법 선거 운동 사례로 꼽혔던 금품 제공이나 관권 선거,청중 동원이 거의 사라졌다고 강조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