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 시장 끝없는 침체 ‥ 오치균그림 한점 값이면 변관식 두점 구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치균그림 한점 값이면 변관식 두점 구입?
한국화와 서양화 작품 가격 차이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미술시장에서 서양화에만 매기가 붙는 반면 한국화 작품 가격은 떨어지거나 정체돼 있는데 따라 상업화랑들의 전시회조차 자취를 감추는 등 '한국화 위기론'이 나오고 있다.
근대한국화 대표 작가로 꼽히는 청전 이상범,소정 변관식,의제 허백련,이당 김은호 등의 작품 가격은 1997년에 비해 3분의 1 선으로 하락한 가운데 30~50대 서양 화가들의 작품값은 급등하고 있다.
서울 인사동 청담동 등 화랑가에서 변관식의 40호(100×72㎝)크기 수작이 9000만원 선에 나오고 있지만 찾는 사람이 없는 반면 서양화 중견작가 오치균의 비숫한 크기 최상품은 2억원을 호가하고 있다.
한국화 대가와 서양화 중견 작가의 작품값이 무려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는 셈이다.
또 허백련 김은호 등의 40호 크기 작품가격(1000만~2000만원) 역시 김동유 홍경택 사석원 등 젊은 서양 화가의 작품가격(2400만~3500만원)에 비해 두 배 이상 벌어진 상태다.
허백련 김은호는 근대 한국화의 한 획을 그은 거장이지만 김동유 홍경택 사석원 박성민 등은 최근 2~3년 동안 주목을 받은 작가들이다.
이처럼 한국화 시장이 침체가 심화되고 있는 것은 최근 미술시장에 뛰어든 30~40대 초보 투자자들이 환금성이 떨어지는 한국화보다는 경매시장에서 쉽게 되팔 수 있는 서양화 위주로 컬렉션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한국화가 아파트 빌라 등 현대식 건물에는 어울리지 않는다며 구입을 기피함으로써 상업화랑들이 전시회를 꺼리는 것도 한국화와 서양화의 가격 차이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갤러리 현대를 비롯해 가나아트 갤러리,국제 갤러리,예화랑 등 대형 화랑들은 한국화 전시회를 단 한차례도 열지 않았고,선화랑은 지난 9월 한국화 4인전,우림화랑은 지난 3월 '운보 김기창'전을 여는 데 그쳤다.
김윤섭 한국미술경영연구소 소장은 "서양화에 밀려 명맥만 유지할 정도로 위축된 한국화 시장이 이대로 가다가는 고사될 수밖에 없다"며 "미술시장에서는 인기 서양화 작가의 작품 한점 값이면 한국화 대가의 작품 2~3점을 살 수 있을 정도로 바닥"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일영 한국미술센터 대표도 "중국이나 일본에서 전통회화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한국화도 시장성이 충분히 있다"며 "한국화시장이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고질적인 위작 논란을 잠재우는 공신력 있는 감정시스템을 도입하고 정책정인 지원도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
미술시장에서 서양화에만 매기가 붙는 반면 한국화 작품 가격은 떨어지거나 정체돼 있는데 따라 상업화랑들의 전시회조차 자취를 감추는 등 '한국화 위기론'이 나오고 있다.
근대한국화 대표 작가로 꼽히는 청전 이상범,소정 변관식,의제 허백련,이당 김은호 등의 작품 가격은 1997년에 비해 3분의 1 선으로 하락한 가운데 30~50대 서양 화가들의 작품값은 급등하고 있다.
서울 인사동 청담동 등 화랑가에서 변관식의 40호(100×72㎝)크기 수작이 9000만원 선에 나오고 있지만 찾는 사람이 없는 반면 서양화 중견작가 오치균의 비숫한 크기 최상품은 2억원을 호가하고 있다.
한국화 대가와 서양화 중견 작가의 작품값이 무려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는 셈이다.
또 허백련 김은호 등의 40호 크기 작품가격(1000만~2000만원) 역시 김동유 홍경택 사석원 등 젊은 서양 화가의 작품가격(2400만~3500만원)에 비해 두 배 이상 벌어진 상태다.
허백련 김은호는 근대 한국화의 한 획을 그은 거장이지만 김동유 홍경택 사석원 박성민 등은 최근 2~3년 동안 주목을 받은 작가들이다.
이처럼 한국화 시장이 침체가 심화되고 있는 것은 최근 미술시장에 뛰어든 30~40대 초보 투자자들이 환금성이 떨어지는 한국화보다는 경매시장에서 쉽게 되팔 수 있는 서양화 위주로 컬렉션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한국화가 아파트 빌라 등 현대식 건물에는 어울리지 않는다며 구입을 기피함으로써 상업화랑들이 전시회를 꺼리는 것도 한국화와 서양화의 가격 차이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갤러리 현대를 비롯해 가나아트 갤러리,국제 갤러리,예화랑 등 대형 화랑들은 한국화 전시회를 단 한차례도 열지 않았고,선화랑은 지난 9월 한국화 4인전,우림화랑은 지난 3월 '운보 김기창'전을 여는 데 그쳤다.
김윤섭 한국미술경영연구소 소장은 "서양화에 밀려 명맥만 유지할 정도로 위축된 한국화 시장이 이대로 가다가는 고사될 수밖에 없다"며 "미술시장에서는 인기 서양화 작가의 작품 한점 값이면 한국화 대가의 작품 2~3점을 살 수 있을 정도로 바닥"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일영 한국미술센터 대표도 "중국이나 일본에서 전통회화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한국화도 시장성이 충분히 있다"며 "한국화시장이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고질적인 위작 논란을 잠재우는 공신력 있는 감정시스템을 도입하고 정책정인 지원도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