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일 무역적자가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이 같은 대일적자가 경상수지를 악화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데다 앞으로도 적자구조가 더욱 심화(深化)될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고 보면 보통 심각한 상황이 아니다.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말까지 대일 무역적자는 219억61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5.9% 늘어난 데 이어,연말까지 사상 최대인 300억달러를 넘어설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올해 전체 무역흑자가 잘해야 150억달러로 전망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수출로 벌어들인 돈의 갑절을 대일적자를 메우는데 쏟아붓는 꼴이다.

물론 고질적인 대일적자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산업특성상 기술ㆍ부품ㆍ소재의 일본 의존도가 높고 주력업종에서 기술력이 뒤져 일본시장 진출이 어려운 까닭이다.

게다가 올들어 급속한 원ㆍ엔 환율 추락까지 겹쳐 경쟁력을 아예 잃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 전반적인 수출호조에도 불구하고 대일 수출은 9월까지 190억6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3.2% 감소한 반면 수입은 409억6700만달러로 6.1% 늘어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특히 대일 적자를 가중시키고 있는 엔화 약세가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원ㆍ엔환율은 지난 7월 100엔당 740원대까지 내려갔다가 최근 790원대로 개선됐지만 여전히 불안하다.

최근 열린 서방선진7개국(G7) 재무장관회의에서도 중국 위안화 환율만 거론되었을 뿐 엔화에 대한 언급이 이뤄지지 않음으로써,미국 달러와 함께 엔화 약세의 지속가능성이 높아진 까닭이다.

그런 만큼 대일적자구조의 개선(改善)을 위한 보다 종합적인 노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그동안 수도 없이 강조해온 부품산업 육성과 우리 산업의 기술ㆍ품질경쟁력 제고가 근본대책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하지만 당장에는 엔화 약세를 극복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환율대책이 시급하다.

일본으로부터의 단기차관 도입억제를 비롯해 환율안정을 위한 정책 강구는 말할 것도 없고 기업의 극복전략도 중요하다.

원화강세를 이용해 부품소재분야의 경쟁력이 있는 일본 기업에 대한 적극적 인수·합병(M&A),고급기술 도입 등 보다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