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식량위기 30년 만에 재발되나.'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 지구촌 곳곳에 곡물과 육류 등 기초 식량이 부족,빨간불이 켜졌다며 식량 부족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수급 안정을 자신해오던 선진국들도 불안해하는 상황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1970년대 식량 위기가 전 세계를 강타한 이후 30년 만에 처음 있는 일로,세계적 식량난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FT에 따르면 현재의 식량 부족은 인구 대국인 중국과 인도 등의 식량 수요가 경제 발전에 따라 급증하고 바이오연료 개발 붐으로 옥수수 등 식용작물 소비가 크게 늘어나는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되고 있다.

세계은행은 2000~2030년 증가할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곡물은 50%,육류는 85%까지 생산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미국은 그러나 2010년 옥수수 생산의 30%를 바이오 에너지 생산에 소비할 것으로 예측된다.

세계식량기구(FAO)는 바이오 에너지로 인해 향후 10년간 농산품 가격이 20~50% 상승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량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들은 자구책 강구에 나서고 있다.

파키스탄은 평시보다 더 많은 밀 수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인도도 식량 비축을 늘리고 있다.

선진국 소비자들도 곡물가 상승과 이로 인한 전반적인 식품 가격 인상으로 고통받고 있다.

이탈리아에선 최근 밀과 빵,스파게티,우유값 상승에 견디다 못한 서민들이 대대적인 시위를 벌였다.

식량 수출국들도 수출량을 직접 규제하거나 관세율을 높여 국내 식품 가격 상승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러시아는 밀과 보리에 수출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관세 추가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옥수수 밀 보리의 수출 물량을 제한하는 쿼터제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영국의 싱크탱크 채텀하우스의 케이트 베일리 연구원은 "국제적 식량 교역 양식의 변화로 현재 영국의 식량 공급은 거대한 도전에 직면했다"며 "정책 입안자들은 식량을 전략적 자산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러시아는 12월 총선을 앞두고 푸틴 정권의 지지도를 관리하기 위해 옛 소련식으로 물가를 통제하기로 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식품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정부 3자는 24일 회동을 갖고 빵 치즈 우유 계란 등 기초식품 가격을 연말까지 10월15일 수준으로 동결시키는 협정을 맺었다.

장규호 기자/연합뉴스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