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수.합병(M&A) 시장에서 큰손으로 떠오른 국부펀드에 대해 미국과 유럽에서 규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31일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미국은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 기구에 가이드 라인 제정을 요청했고 독일과 프랑스는 유럽연합(EU)를 통한 공동 대응을 제안했다.

개도국이 운영하는 국부 펀드가 막대한 자산을 앞세워 자국의 기간 산업을 장악하고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란 국가가 해외 투자를 위해 외환 보유액으로 만든 펀드다.

싱가포르의 테마섹이나 GIC,아랍에미리트의 아이다 등이 있다.

중국은 2000억달러 규모의 투자공사를 설립,곧 투자에 나선다.

러시아도 석유 판매로 쌓아놓은 1170억달러의 안정 기금 중 일부로 '내셔널 웰빙펀드'를 만들 계획이다.

각국 국부펀드가 운용하는 총 자산은 2조5000억달러로 전 세계 헤지펀드 자산보다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모건 스탠리는 이들 펀드의 총 자산이 2015년까지 12조달러로 늘 것이라고 예상했다.

막대한 자금이 전 세계를 다니면서 공격적으로 기업을 인수할 것이라는 우려는 네덜란드 최대 은행인 ABN암로 인수전에 중국 국영 은행인 중국개발은행(CDB)와 테마섹이 지원군으로 뛰어들면서 촉발되고 있다.

ABN암로 인수를 추진하는 영국 바클레이즈 은행에 이들 두 기관이 지원 자금을 대주기로 하자 과연 국부펀드들의 영향력이 어디까지 확산될지 선진국들이 긴장하고 있는 것이다.

선진국들은 특히 개도국 정부가 국부펀드를 앞세워 자국의 통신,에너지,금융 등 주요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통제력을 넓힐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 경우 국가간 안보 문제로 발전할 수 있고 국제 경제의 갑작스러운 위기를 조장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대책으로 IMF와 세계은행에 국부펀드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촉구했다.

국부 펀드의 회계 정보와 투자 목적을 명시하도록 하는 정보공개 방안이 주로 논의되고 있다.

지난달 클레이 로워리 미 재무부 차관보는 매년 자산 실태를 공개하고 사기업의 소규모 지분 인수에만 투자를 국한하는 노르웨이 연금펀드를 모범 사례로 들었다.

런던 정경대의 부이터 교수는 국영 펀드가 이같은 정보공개 규정을 따르지 않을 경우 해외 자산 인수를 아예 금지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프랑스와 독일은 27개 EU 회원국의 공동 대응을 제안하고 나섰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이달 "이 같은 현상을 급박하게 막을 필요가 있다"고 밝힌데 이어 장 피에르 주예 프랑스 EU담당 장관도 "더욱 체계적이고 강력한 유럽 공동의 규제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유미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