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미 FTA 타결] 한나라 빅2 "대통령ㆍ정부노력 긍정평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미 FTA 비준 문제가 올해 내내 정치권을 뜨겁게 달굴 것으로 보인다.
벌써부터 찬성-반대 두 세력으로 첨예하게 갈려 '내전'에 들어간 양상이다.
반대파들은 "몸을 던져서라도 비준을 막을 것"이라며 조직화에 나서고 있다.
연내 처리가 여의치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더욱이 FTA 비준은 대선 일정표와 맞물리고 있다.
FTA에 대한 찬·반 입장이 대선 정국에서 이합집산의 촉매제가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범여권 재편 촉매제=한·미 FTA는 범여권의 대선 구도를 재편할 가능성이 높다.
우선 열린우리당 정동영 김근태 전 의장과 천정배 의원 등은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정·김 두 전 의장은 이번 기회에 한·미 FTA에 강한 의지를 보여온 노무현 대통령과 확실하게 차별화의 길로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흐트러진 진보·개혁세력의 지지를 다시 모으고 현재의 수세 국면을 반전시킬 기회이기도 하다.
당내에서 "두 전 의장이 FTA를 명분으로 탈당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반면 범여권 후보로 분류되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환영'입장을 밝혔다.
범여권 내에서도 한·미 FTA에 긍정적 입장을 갖고 있는 중도·보수 성향 인사들이 적지 않다.
이들이 손 전 지사의 '우군'으로서 여권 내에서 정·김 전 의장,천 의원과 전선을 구축할 가능성도 있다.
낮은 수준의 협상 체결 후 나머지 문제를 차기 정부로 넘겨야 한다고 주장해 온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도 '정·김·천' 등과 다른 입장을 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한나라당 대선주자들은 강도에서 다소 차이는 있지만,FTA타결에 찬성 입장을 내놓았다.
때문에 경선전에서 FTA로 인해 양측의 갈등이 증폭되진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근혜 전 대표는 "국익차원에서 대통령의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
정치권도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명박 전 시장은 "부족한 점이 있지만 정부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국가 미래를 생각할 때 개방은 불가피한 것이 아닌가 생각하고,피해를 입는 분야에 대한 지원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영식/강동균 기자 yshong@hankyung.com
벌써부터 찬성-반대 두 세력으로 첨예하게 갈려 '내전'에 들어간 양상이다.
반대파들은 "몸을 던져서라도 비준을 막을 것"이라며 조직화에 나서고 있다.
연내 처리가 여의치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더욱이 FTA 비준은 대선 일정표와 맞물리고 있다.
FTA에 대한 찬·반 입장이 대선 정국에서 이합집산의 촉매제가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범여권 재편 촉매제=한·미 FTA는 범여권의 대선 구도를 재편할 가능성이 높다.
우선 열린우리당 정동영 김근태 전 의장과 천정배 의원 등은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정·김 두 전 의장은 이번 기회에 한·미 FTA에 강한 의지를 보여온 노무현 대통령과 확실하게 차별화의 길로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흐트러진 진보·개혁세력의 지지를 다시 모으고 현재의 수세 국면을 반전시킬 기회이기도 하다.
당내에서 "두 전 의장이 FTA를 명분으로 탈당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반면 범여권 후보로 분류되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환영'입장을 밝혔다.
범여권 내에서도 한·미 FTA에 긍정적 입장을 갖고 있는 중도·보수 성향 인사들이 적지 않다.
이들이 손 전 지사의 '우군'으로서 여권 내에서 정·김 전 의장,천 의원과 전선을 구축할 가능성도 있다.
낮은 수준의 협상 체결 후 나머지 문제를 차기 정부로 넘겨야 한다고 주장해 온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도 '정·김·천' 등과 다른 입장을 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한나라당 대선주자들은 강도에서 다소 차이는 있지만,FTA타결에 찬성 입장을 내놓았다.
때문에 경선전에서 FTA로 인해 양측의 갈등이 증폭되진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근혜 전 대표는 "국익차원에서 대통령의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
정치권도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명박 전 시장은 "부족한 점이 있지만 정부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국가 미래를 생각할 때 개방은 불가피한 것이 아닌가 생각하고,피해를 입는 분야에 대한 지원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영식/강동균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