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마침내 타결됐다.

쇠고기 자동차 등 핵심 쟁점들에 대한 양국의 의견차가 좀체 좁혀지지 않으면서 협상 마감시한을 두 차례나 연장하는 등 그야말로 산고(産苦) 끝의 결과물이다.

그만큼 값진 성과다.

노무현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이야기했듯 경제 재도약의 새로운 계기를 마련한 것은 물론 한·미 동맹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게 틀림없다.

물론 분야별로는 이해(利害)와 득실(得失)이 엇갈린다.

자동차 섬유 부문 등의 경우는 우리가 얻은 것이 더 많은 반면 쇠고기 농산물 서비스 분야 등에선 시장을 상당 부분 내주지 않으면 안될 처지다.

하지만 부문별 이해득실을 떠나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과의 FTA 체결은 그 자체만으로도 갖는 의미가 대단히 크다.

물론 위험도 따르겠지만 새로운 기회가 그만큼 많이 열릴 게 분명하다.

게다가 미국과의 FTA를 성사시킴으로써 앞으로 보다 많은 국가들과 FTA를 추진할 수 있는 동력도 확보했다.

개방과 경쟁을 통해 우리 경제가 다시 한번 용틀임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구축된 셈이다.

새로운 기회와 동력,그리고 발전의 토대를 어떻게 활용하느냐 하는 것은 우리에게 달렸다.

FTA가 그 자체로 경쟁력 향상을 가져다 주는 것은 아닌 만큼 어떻게 이익을 극대화하고, 피해는 최소화할지가 우리 앞에 놓인 과제다.

그런 점에서 앞으로가 정말 중요하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정부가 협상을 통해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는지 솔직하게 설명하고 이해를 구함으로써 일부 국민들이 갖고 있는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시켜 주는 일이다.

아울러 협상 이후의 후속 전략 마련에도 만전(萬全)을 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우리가 얻어냈다고 생각하는 업종이나 분야의 경우는 더욱 치밀하게 전략을 다듬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만들어내야 한다.

관세 인하 등에 만족할 게 아니라 한·미 FTA를 어떻게 기존 산업의 혁신,신산업 육성 등에 활용하고 세계시장에서의 위상 제고로 연결시킬 것인지 정부와 기업들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짜내야 한다.

피해예상분야에 대해 국민들을 납득시킬 만한 대책을 추진하는 것도 긴요하다.

정부는 어제 이와 관련한 후속 대책을 발표했지만 피해가 불가피한 업종이나 분야별로 얼마나 타격을 받는지 면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짜여진 지원 방안이 차질없이 추진돼야 할 것이다.

또한 이번 협상에서 양보를 했다고 해서 해당 업종이나 분야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개방과 경쟁을 통해 장기적 차원에서 오히려 경쟁력을 더욱 높이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해당 분야나 업계 역시 지금은 글로벌 차원에서의 경쟁이 불가피한 시대임을 직시(直視)하고 정부 지원에 기대기보다는 스스로 경쟁력을 높이는 데 총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차제에 제도 선진화의 속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글로벌 스탠더드에 초점을 맞춘 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따지고 보면 이런 제도적 측면의 개선이야말로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를 한 단계 레벨업시키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전제조건이기도 하다.

각종 기업규제의 혁파,국내 기업에 대한 역차별 해소,전투적 노사관계의 개혁과 노사 상생(相生) 기반 확충,교육 의료 법률제도의 개혁 등 서둘러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참으로 많다.

정치적으로는 국회 비준이 당면 과제다.

지금 우리 정치권은 연말 대선과 맞물려 한·미 FTA를 두고도 심각한 대립과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 때문에 협정 비준이 순조롭게 이뤄지지 못할 것이란 얘기마저 나오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이는 안될 말이다.

어렵사리 타결된 협상이 정치권에 의해 물거품이 된다면 그야말로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 실책이 되고 말 것이다.

물론 부분적으로 아쉬운 점도 있겠지만 전체 국익(國益)을 생각하는 책임있는 정치인이라면,한·미 FTA를 정략적으로 악용해 국론 분열과 갈등을 부추겨선 안된다.

오히려 그런 분열과 갈등을 수습하는 일에 앞장서야 마땅하다.

무엇이 진정 국익을 위하는 길인지,미래지향적 관점에서 더 크고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글로벌 경제 시대에 FTA 말고 달리 대안이 있는지 스스로 물어 보기 바란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제부터다.

하나하나 차분하고도 치밀하게 준비하고 대응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FTA는 한·미 FTA로 끝날 일이 아니다.

한·중,한·일 등 다른 나라와도 계속 추진해 나가야 한다.

무엇보다 우리 스스로 능동적으로 미래를 개척(開拓)한다는 마음가짐과 자세가 중요하다.

그래야만 경제는 물론이고 사회 전반의 선진화를 앞당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