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업 10곳 중 6곳은 내부 정보보호 대책을 수립하지 않고 있어 사내정보 유출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과기정위 소속 김태환(金泰煥) 의원이 19일 공개한 정보통신부의 `정보보호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조사대상 1천213개 기업 가운데 58.5%인 709개 기업이 사규나 규칙, 지침 등에 정보보호 대책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보보호 대책 미수립률을 지역별로 보면 부산.울산.경남이 82.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인천.경기 66.5% ▲강원 59.5% ▲대전.충청 49.8% ▲서울 49.4%▲광주.전라.제주 49% ▲대구.경북 42.2% 등의 순이었다.

최고정보보호책임자(CSO) 임명률은 평균 5.3%로 집계돼 100개 기업 가운데 5개 정도만 CSO를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 "정보보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많이 높아지고 있으나 예산과 전문가 도입 등의 측면에선 아직 걸음마 수준에 그치고 있다"면서 "정부 차원의 예방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심인성 기자 si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