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PB 부서 수장들의 자녀들이 국내 대기업에 취업해 첫 월급을 받게 돼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었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PB 임원들도 새내기 직장인들을 위한 투자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월 투자 가능 금액은 편의상 100만원으로 정했다.
신입사원뿐 아니라 종자돈 마련이 급선무인 재테크 초보들을 위한 재테크 기법을 소개한다.
◆절반 이상을 펀드에 넣어야
4명의 PB 임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투자 방법은 투자금액의 50% 이상을 펀드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은행 소속 임원들인데도 예·적금보다 펀드 투자를 적극 추천한 것은 젊을 때일수록 공격적인 투자가 바람직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또 절세 상품을 십분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10% 내외의 돈은 반드시 보장성 보험에 가입하라고 충고했다.
세부 투자 내역은 개인별 특성에 따라 달랐다.
공격적인 성향의 투자자라면 신한은행의 이남 PB고객그룹 부행장과 김귀현 외환은행 PB본부 상무가 작성한 포트폴리오를 기준으로 하면 좋다.
이 두 사람은 투자금액의 60% 이상을 펀드에 넣도록 포트폴리오를 짰다.
이 부행장은 고배당주나 성장 잠재력이 큰 종목에 투자하는 펀드를 추천했다.
이 부행장은 자신이 권하는 펀드에 3년 이상 투자하면 예상 수익률이 연 10% 이상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부행장은 "장기주택마련저축과 청약 상품에는 많은 돈을 넣지 말고 비과세나 청약 자격만 유지하는 정도의 금액만 넣을 것"을 권했다.
김귀현 외환은행 상무는 투자금액의 60% 이상을 펀드에 넣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김 상무는 여윳돈이 생기면 추가로 돈을 넣을 수 있는 자유적금 상품인 '매일매일 부자적금'에 20만원 이상을 붓도록 했다.
국내 주식형 펀드를 고를 때 선취 수수료가 있는 상품을 고르라고 한 점이 특이하다.
장기 투자할 때는 후취 수수료 펀드보다 운용 보수가 적게 드는 선취 수수료 펀드가 유리하기 때문이다.
◆단기와 장기 자금 구분해야
정규장 우리은행 PB사업단장과 이우공 하나은행 PB본부 부행장보는 투자금의 절반 정도를 펀드에 불입하도록 포트포리오를 짰다.
이 부행장보는 3∼5년 정도를 바라보고 결혼 자금 목적으로 펀드에 50만원을 넣고 나머지 50만원은 장기를 염두에 둔 청약저축과 장기주택마련저축(펀드)에 각각 10만원,30만원을 투자토록 했다.
나머지 10만원은 보장성 보험에 가입하는 데 쓰도록 했다.
이 부행장보는 "최소한 월급의 60% 이상은 저축을 해야 하며 여윳돈이 생기면 CMA(종합자산관리계좌)나 MMF(머니마켓펀드) 등에 넣어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규장 우리은행 PB사업단장은 장기 상품인 장기주택마련 펀드와 노후 보장 상품인 개인연금신탁에 각각 매달 20만원씩을 넣도록 주문했다.
두 상품 모두 비과세에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시장 수익률을 좇는 인덱스 펀드와 저축과 보험을 섞은 저축형 보험 상품도 추천했다.
정 단장은 "예금과 펀드 그리고 보험에 3분의 1씩의 비율로 투자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젊었을 때 자기 특성에 맞는 전략을 세우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