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공보육 시스템은 다른 나라들이 보고 배울 정도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지만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공보육 시설들이 주로 3세 이상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3세 미만 자녀를 둔 가정은 상대적으로 보육 부담이 크다.

또 철저하게 공보육 체계 중심이기 때문에 기업들의 참여가 저조하다.

프랑스 정부가 이런 문제점을 풀기 위해 내놓은 해법은 기업들과 3세 미만 자녀의 보육 문제를 연계시키는 작업이다.

기업들이 기업 내에 더 많은 보육시설을 짓도록 지원해 직장 여성들이 육아휴직을 쓰지 않고도 아이들을 키울 수 있도록 유도하자는 것.이렇게 되면 정부의 육아휴직 수당 부담도 줄어든다.

여론조사도 이런 정책 방향의 근거를 마련해주고 있다.

2005년 여론조사 기관인 '소프르'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24~49세 연령대의 프랑스 직장 여성 중 84%는 지역 내 공보육 시설보다 기업 내 탁아소를 더 선호한다고 답했다.

일하는 동안 아이들을 더 가까이에서 지켜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요구를 반영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파리 라데팡스 지역에 본사를 둔 정유업체 토털은 지난해 1월 처음으로 사내 탁아소를 개원했다.

직원들을 위해 이 탁아소를 기획하기 시작한 2004년 말까지만 해도 라데팡스 지역에서는 기업 보육시설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다.

약 100만유로(약 1억2000만원)의 설립 비용 중 회사측의 부담금은 25%에 불과하다.

정부가 세금 감면과 보조금으로 총 비용의 75%를 댔다.

14개월 된 딸을 이 보육시설에 맡기고 있는 이자벨 카브롤씨는 "직장 보육시설이 사설 탁아소보다는 약간 비싼 편이지만 점심시간이나 휴식시간에 모유를 먹일 수 있어 편하다"고 말했다.

또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맡아 주지만 야근을 할 때는 8시까지도 아이를 봐주기 때문에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다고 덧붙였다.

특히 19명의 육아전문 교사뿐만 아니라 소아과 의사와 심리학자 2명까지 상근하고 있다.

카브롤씨는 "단순히 일하는 동안 아이를 맡아주는 곳이 아니라 아이의 건강 상태와 성격 형성 등까지 체크해주어 마음이 놓인다"고 설명했다.

보육시설 운영비는 부모가 30%,회사가 20%,나머지 절반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각종 보조금으로 지원하고 있다.

부모들의 보육료는 소득에 따라 차등화한다.

인사팀의 리사 와일러씨는 "직장 내 보육시설을 설치하고 나서 직원들의 근무 만족도가 눈에 띄게 향상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