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5일자) 중국 위안화 향방 주목해볼 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베이징에서 어제 열린 미국과 중국 간의 고위급 경제전략대화는 양국의 경제정책을 맡는 수뇌부가 총출동했다는 점에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미국이 장관급 7명이 포함된 매머드대표단을 보냈다고 하니 더욱 그렇다.
부문별 개별회담 없이 양국 대표들이 한 곳에서 이틀간 마라톤회의를 갖는다는 점도 특이하다.
이번 행사는 중국의 국력과 위상을 반영한 것이다.
대표적인 중국통인 헨리 폴슨 미 재무장관은 지난 9월 취임 인사차 중국을 방문하면서 무역현안 등 경제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매년 두 번씩 만나자고 제안,중국이 이를 받아들여 성사된 것이다.
이처럼 미국이 먼저 중국과의 양자 대화를 희망한 것은 그만큼 내부 사정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의 올해 대중국 무역수지(貿易收支) 적자규모는 지난해에 이어 연속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분위기에서 미국은 대화가 시작되자마자 위안화의 변동폭 확대가 시급하다며 중국을 압박했다.
미국측은 위안화 가치가 20∼40%가량 과소 평가돼 있어 무역수지 적자가 해마다 증가한다는 입장에서 위안화의 평가절상을 요구했다.
이에 맞서 중국은 대외개방을 통해 국제수지의 균형을 도모(圖謀)한다는 입장을 강조하는 등 신경전을 벌였다.
세계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미국과 중국 간의 맞짱토론 끝에 어떤 결론이 내려질지는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상호 입장을 확인하는 수준에 머물지,아니면 '베이징 합의'라고 일컬을만한 종합적이고 잔략적인 결론을 도출해낼 지에 따라 미·중 관계가 변화될 수 있어 그렇다. 환율 문제에 대한 중국의 성의있는 약속을 받아내지 못한 채 미국 대표단이 중국을 떠날 경우 양국간 통상마찰이 심해질 것도 분명하다.
그러나 어떤 결론이 내려지든 우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은 두말할 필요조차 없다. 무엇보다 위안화의 절상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고 보는 것이 옳다.
그에 따른 대응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지식재산권 강화와 금융시장 추가개방 등 미국이 중국에 요구하고 있는 사안들을 우리에게도 적용할 가능성 또한 없지않다.
특히 내년 1월부터 민주당이 미 의회를 장악하게 되면서 통상압력이 커질 것이라는 점에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미·중 경제전략회의를 남의 일로 구경만 할 상황은 결코 아니다.
미국이 장관급 7명이 포함된 매머드대표단을 보냈다고 하니 더욱 그렇다.
부문별 개별회담 없이 양국 대표들이 한 곳에서 이틀간 마라톤회의를 갖는다는 점도 특이하다.
이번 행사는 중국의 국력과 위상을 반영한 것이다.
대표적인 중국통인 헨리 폴슨 미 재무장관은 지난 9월 취임 인사차 중국을 방문하면서 무역현안 등 경제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매년 두 번씩 만나자고 제안,중국이 이를 받아들여 성사된 것이다.
이처럼 미국이 먼저 중국과의 양자 대화를 희망한 것은 그만큼 내부 사정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의 올해 대중국 무역수지(貿易收支) 적자규모는 지난해에 이어 연속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분위기에서 미국은 대화가 시작되자마자 위안화의 변동폭 확대가 시급하다며 중국을 압박했다.
미국측은 위안화 가치가 20∼40%가량 과소 평가돼 있어 무역수지 적자가 해마다 증가한다는 입장에서 위안화의 평가절상을 요구했다.
이에 맞서 중국은 대외개방을 통해 국제수지의 균형을 도모(圖謀)한다는 입장을 강조하는 등 신경전을 벌였다.
세계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미국과 중국 간의 맞짱토론 끝에 어떤 결론이 내려질지는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상호 입장을 확인하는 수준에 머물지,아니면 '베이징 합의'라고 일컬을만한 종합적이고 잔략적인 결론을 도출해낼 지에 따라 미·중 관계가 변화될 수 있어 그렇다. 환율 문제에 대한 중국의 성의있는 약속을 받아내지 못한 채 미국 대표단이 중국을 떠날 경우 양국간 통상마찰이 심해질 것도 분명하다.
그러나 어떤 결론이 내려지든 우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은 두말할 필요조차 없다. 무엇보다 위안화의 절상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고 보는 것이 옳다.
그에 따른 대응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지식재산권 강화와 금융시장 추가개방 등 미국이 중국에 요구하고 있는 사안들을 우리에게도 적용할 가능성 또한 없지않다.
특히 내년 1월부터 민주당이 미 의회를 장악하게 되면서 통상압력이 커질 것이라는 점에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미·중 경제전략회의를 남의 일로 구경만 할 상황은 결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