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어제 국회 지명선거를 거쳐 공식 취임하면서 새 내각이 출범했다.

그의 총리 취임이 꼬일대로 꼬여있는 한·일관계를 우선적으로 정상화하고 미래지향적인 발전방향을 새롭게 모색하는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아베 총리가 경색된 양국 관계의 개선 의지를 내보이면서 조기 정상회담을 희망하고 있는 것은 일단 긍정적이다.

하지만 그가 그동안 보여온 민족주의적 성향이나 친미(親美) 일변도 외교노선,평화헌법 개정 주장,게다가 이번 집권 자민당과 내각의 핵심 요직에 보수 강경파를 대거 기용한 행보로 볼 때 결코 낙관하기는 이르다.

한마디로 고이즈미정권 이래 갈등과 마찰로 일관되어 온 한·일관계의 긴장이 더욱 증폭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얘기다.

더구나 아베 총리는 북핵(北核) 및 미사일 문제,일본인 납치문제 등에 대해 누구보다 강경한 입장으로 대북제재에도 앞장서 왔다.

이런 자세가 동북아의 안정과 긴장 완화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아베 총리가 진정 관계 개선을 원한다면 그동안 이웃나라는 전혀 아랑곳하지 않고 끊임없이 자극하면서 갈등만 부추겨온 과거 정권의 행태로부터 단절되는 모습을 분명히 내보이지 않으면 안된다.

지금 한·일간 정상회담마저 중단되고 있을 정도로 관계가 최악의 상태에 빠진 것은 역사교과서 왜곡과 독도 영유권 주장,야스쿠니신사 참배 등 일본 측의 끊임없는 도발에 기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중·일관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런 상황이 더 이상 지속되는 것은 어느 쪽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일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특히 우리는 이미 일본과 경제적으로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묶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일관계에 대한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접근이 더욱 긴요한 이유다.

반일감정에 치우쳐 단견적(短見的)으로 대응할 일이 아니라 보다 전략적이고 냉정한 자세와 유연성을 살리는 외교적 노력으로 한·일관계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것이 당면한 과제다.

그런 점에서 우리 외교정책의 총체적 재점검과 함께 새로운 국제정세의 흐름을 감안한 방향전환이 절실하다.

무엇보다 한·일간 불편한 관계를 해소하고 동반자적 관계를 복원하는 것이 시급한 만큼 아베 정권의 대내외 정책변화에 대해 보다 신중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