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어떻게 굴릴까] 재테크 트렌드 : 금리인상 마무리 단계 … 돈굴리기 어떻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8일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공개시장위원회(FOMC)는 금리를 5.2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전임 그린스펀 FRB 의장 시절이던 2004년 6월부터 시작해서 현 버냉키 의장 시절에 이르기까지 무려 17차례나 연방기금 금리를 인상하며 1%에서 5.25%까지 올린 금리의 상승행진은 일단 멈춘 것이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다른 결과를 발표했다.
실제 경기의 둔화 조짐이 여러 곳에서 포착되면서 금리 동결을 내심 예상했던 시장의 반응과는 달리 콜금리를 4.50%로 0.25%포인트 올린 것이다.
한은은 "경기가 둔화 기미를 보이고는 있지만 중장기적인 상승곡선이 유지되고 있고 물가는 점차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어 선제대응 차원에서 금리를 올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장 관계자들은 한은이 이번에 금리를 올린 가장 큰 배경으로 금리 인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정서로 꼽고 있다.
각종 경기 지표들이 경제 둔화의 신호를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연말로 접근할수록 금리를 올리기가 더 어려워진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의 다음 행보는 금리 동결 쪽으로 무게가 실린다.
이 총재는 연 4.5%의 콜금리 수준이 경기 부양적인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현재의 경제 상황에 비춰볼 때 그럴싸하다"고 말해 현재 경기 상황에 맞는 수준으로 금리가 올랐음을 밝혔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8월까지 다섯 차례 올린 금리 인상의 효과가 통상적으로 6개월 정도 뒤에 나타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말 또는 내년 2월까지는 금리를 동결하면서 경제상황을 주시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미국도 다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이처럼 금리 인상이 마무리에 있다고 판단될 때는 '예금은 고정금리로 길게,대출은 변동금리로 짧게' 가져가는 게 유리하다.
예금의 경우 현 5%대 정기예금 금리는 '실세금리 +α'로 충분히 매력이 있기 때문에 1년 이상 고정금리 예금을 유지하면서 금리가 고점을 찍고 다시 내려갈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일정수준의 리스크를 용인할 수 있는 투자자라면 5.5% 수준의 1년형 특정금전신탁 상품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결국 예금,특정금전신탁 등 장기형 상품의 경우 한은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하기는 어려워 보이기 때문에 현재의 금리를 충분히 활용 할 필요가 있다.
반면 대출은 기존 변동금리 상품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변동금리 대출상품 금리가 고정금리 상품에 비해 1%포인트 정도 낮다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콜금리가 몇번 이상 올라야 고정금리 상품이 유리하고 이 같은 급격한 인상은 어렵기 때문이다.
콜금리가 한 번 더 인상된다고 하더라도 신규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상품의 금리 차이와 기존 대출을 변동금리에서 고정금리로 바꿀 때의 중도상환 수수료를 감안하면 변동금리 상품이 여전히 유리하다.
김해식 우리은행 Two Chairs 강남센터 PB 팀장
전임 그린스펀 FRB 의장 시절이던 2004년 6월부터 시작해서 현 버냉키 의장 시절에 이르기까지 무려 17차례나 연방기금 금리를 인상하며 1%에서 5.25%까지 올린 금리의 상승행진은 일단 멈춘 것이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다른 결과를 발표했다.
실제 경기의 둔화 조짐이 여러 곳에서 포착되면서 금리 동결을 내심 예상했던 시장의 반응과는 달리 콜금리를 4.50%로 0.25%포인트 올린 것이다.
한은은 "경기가 둔화 기미를 보이고는 있지만 중장기적인 상승곡선이 유지되고 있고 물가는 점차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어 선제대응 차원에서 금리를 올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장 관계자들은 한은이 이번에 금리를 올린 가장 큰 배경으로 금리 인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정서로 꼽고 있다.
각종 경기 지표들이 경제 둔화의 신호를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연말로 접근할수록 금리를 올리기가 더 어려워진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의 다음 행보는 금리 동결 쪽으로 무게가 실린다.
이 총재는 연 4.5%의 콜금리 수준이 경기 부양적인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현재의 경제 상황에 비춰볼 때 그럴싸하다"고 말해 현재 경기 상황에 맞는 수준으로 금리가 올랐음을 밝혔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8월까지 다섯 차례 올린 금리 인상의 효과가 통상적으로 6개월 정도 뒤에 나타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말 또는 내년 2월까지는 금리를 동결하면서 경제상황을 주시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미국도 다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이처럼 금리 인상이 마무리에 있다고 판단될 때는 '예금은 고정금리로 길게,대출은 변동금리로 짧게' 가져가는 게 유리하다.
예금의 경우 현 5%대 정기예금 금리는 '실세금리 +α'로 충분히 매력이 있기 때문에 1년 이상 고정금리 예금을 유지하면서 금리가 고점을 찍고 다시 내려갈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일정수준의 리스크를 용인할 수 있는 투자자라면 5.5% 수준의 1년형 특정금전신탁 상품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결국 예금,특정금전신탁 등 장기형 상품의 경우 한은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하기는 어려워 보이기 때문에 현재의 금리를 충분히 활용 할 필요가 있다.
반면 대출은 기존 변동금리 상품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변동금리 대출상품 금리가 고정금리 상품에 비해 1%포인트 정도 낮다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콜금리가 몇번 이상 올라야 고정금리 상품이 유리하고 이 같은 급격한 인상은 어렵기 때문이다.
콜금리가 한 번 더 인상된다고 하더라도 신규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상품의 금리 차이와 기존 대출을 변동금리에서 고정금리로 바꿀 때의 중도상환 수수료를 감안하면 변동금리 상품이 여전히 유리하다.
김해식 우리은행 Two Chairs 강남센터 PB 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