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인력난을 겪는 한국기업들이 지방정부로부터 거꾸로 일자리 창출 압박까지 받으면서 진퇴양난에 빠졌다.

칭다오 외곽 도시 라이시시에서 액세서리를 만들어 한국과 유럽에 수출하는 B사의 김모 사장은 "법적으로 근로자 1인당 잔업시간이 한 달에 30시간으로 제한되지만 이를 지키는 회사는 거의 없었는데 작년부터 외국기업을 상대로 집중 단속해 벌금을 물리고 있다"고 말했다.

지방정부들이 더 많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예전에 없던 고강도 단속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김 사장은 "인건비 상승과 잦은 이직 등으로 4년 전만 해도 250명 되는 인원을 지금은 150명으로 줄였다"며 "그래서 법적기준을 넘긴 하지만 별도 수당을 주면서 잔업을 추가로 시켜왔는데 이제 힘들게 됐다"고 한숨을 쉬었다.

잔업제한 시간을 넘기지 않기 위해서는 인력을 더 써야 하기 때문이다.

김 사장의 고민은 앞으로도 더욱 깊어질 것 같다.

중국 국무원(중앙정부)이 지난 25일 심의 통과시킨 '노동사회보장사업발전 11차5개년 규획(청사진)안'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 규획안이 향후 2010년까지 5년간 새 일자리 4500만개 창출 목표를 세웠다고 전했다.

과거 5년간 실제로 생겨난 새 일자리(4200만개)보다 무려 300만개 더 많은 것이다.

서비스업 등 신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도 본격화되겠지만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잔업 관행도 철퇴를 맞을 수밖에 없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