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체, 초대형 개발사업 주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규제와 공급과잉으로 주택시장이 위축되면서 건설업계가 대규모 개발사업에 '올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사업규모가 큰 초대형 개발사업 물량을 확보할 경우 건설사들이 비교적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등장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은 전국 각지의 도심이나 택지개발지구,신도시 등의 유망 부지에 주거·판매·영업 등의 복합기능시설을 밀집시켜 개발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사업형태는 정부나 지자체,공기업 등이 개발주체인 공공사업도 있고,민간업체가 직접 땅을 매입해 개발하는 민간사업,민관합동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 프로젝트는 대부분 사업비가 1조~2조원대로 천문학적이다.
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림산업의 경우 연초 건축영업부 내에 20여명 규모의 대형사업 투자영업팀을 신설했다.
서울 뚝섬 상업용지 개발,일본의 대표적 도심복합단지인 '롯폰기'를 본뜬 형태로 개발될 '세운상가4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등이 바로 이들이 관장하는 대표 사업들이다.
태영도 올 하반기 마산에서 한일합섬 부지를 매입해 4000여가구의 아파트와 상가 등을 건설하는 대규모 복합단지를 선보인다.
태영은 또 대표주간사로 현대건설·대우건설·GS건설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광명 역세권 개발사업'수주에 나서고 있다.
GS건설은 개발사업본부에 30명의 별도 사업팀을 구성해 활동 중이다.
이들은 마포 합정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을 비롯해 최근엔 화교 부동산개발업체인 리포(Lippo) 그룹과 함께 영종도 운북 레저단지개발사업을 수주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
사업규모가 큰 초대형 개발사업 물량을 확보할 경우 건설사들이 비교적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등장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은 전국 각지의 도심이나 택지개발지구,신도시 등의 유망 부지에 주거·판매·영업 등의 복합기능시설을 밀집시켜 개발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사업형태는 정부나 지자체,공기업 등이 개발주체인 공공사업도 있고,민간업체가 직접 땅을 매입해 개발하는 민간사업,민관합동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 프로젝트는 대부분 사업비가 1조~2조원대로 천문학적이다.
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림산업의 경우 연초 건축영업부 내에 20여명 규모의 대형사업 투자영업팀을 신설했다.
서울 뚝섬 상업용지 개발,일본의 대표적 도심복합단지인 '롯폰기'를 본뜬 형태로 개발될 '세운상가4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 등이 바로 이들이 관장하는 대표 사업들이다.
태영도 올 하반기 마산에서 한일합섬 부지를 매입해 4000여가구의 아파트와 상가 등을 건설하는 대규모 복합단지를 선보인다.
태영은 또 대표주간사로 현대건설·대우건설·GS건설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광명 역세권 개발사업'수주에 나서고 있다.
GS건설은 개발사업본부에 30명의 별도 사업팀을 구성해 활동 중이다.
이들은 마포 합정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을 비롯해 최근엔 화교 부동산개발업체인 리포(Lippo) 그룹과 함께 영종도 운북 레저단지개발사업을 수주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