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참여연대 보도 그후 …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3일 '편법상속조사 발표 앞두고 참여연대,기업대상 모금행사'라는 단독 기사가 나간 직후 기자에게는 독자들의 전화가 쏟아졌다.
"기업의 감시자를 자처하는 참여연대가 어떻게 기업을 대상으로 돈을 거둘 수 있나"며 "기업의 약점을 발표하겠다고 선언한 뒤에 모금행사를 갖는 의도가 뭐냐"는 비난성이 대부분이었다.
개중에는 "참여연대의 순수한 의도를 왜 꼭 그렇게 나쁘게 보도할 필요가 있었느냐"는 항의도 있었다.
이번 언론의 집중 보도로 구설수에 오른 참여연대도 '억울하다'고 느끼는 것 같다.
참여연대는 "마치 참여연대가 재벌기업의 편법증여나 상속 문제에 대한 조사결과 발표를 기업모금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한 듯이 보도했다"고 항변했다.
그래도 분이 덜 풀렸는지 "기사의 배경과 의도가 매우 악의적"이라고까지 주장했다.
한 인터넷 매체는 참여연대를 거들기 위해 "평균 임금에도 턱없는 돈을 받으며 청춘을 바치는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자신들이 하룻밤 접대받는 비용 정도에 양심을 팔 것이라고 믿고 있는 건가"라고 기자에게 되묻기도 했다.
이런 항의의 글과 전화를 접하면서 참여연대와 그 지지자들이 문제의 본질을 잘못 읽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기자는 참여연대가 기업들로부터 후원금을 받는 것에 대한 시비를 따질 생각은 없었다.
다만 기자가 지적하고 싶었던 점은 '시기의 적절성'이었다.
기업과 관련된 조사결과 발표를 앞둔 상황에서 해당 기업들을 대상으로 모금활동을 할 경우 기업들이 받을 수 있는 부담에 대해 얘기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그동안 국내 주요기업의 경영권 상속과 부당한 내부거래 등을 문제삼으며 영향력을 키워왔던 참여연대라면 기업의 부담은 더욱 클 것이다.
이를 두고 '참여연대 때리기'나 '악의적인 보도'라고 한다면 그것은 '어불성설'이 아닐까.
지난 10여년간 참여연대가 우리 사회에서 이룬 성과는 분명히 크다.
하지만 높아진 이름 만큼이나 참여연대는 스스로의 도덕성을 다시 한번 돌이켜봐야 할 것이다.
왜 수많은 독자와 네티즌들이 자신들을 질타하는가를 참여연대가 다시 한번 되새겼으면 한다.
이태명 산업부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