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규모,대내외 경쟁환경,금융시스템,정부혁신 정책 등을 포괄하는 혁신여건지수가 74.4(미국을 100으로 한 상대평가 점수)로 지난해보다 3단계 오른 5위를 기록한 데다 외국인 직접투자,국내기업의 해외투자,전략적 제휴 등을 의미하는 혁신연계지수도 6위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혁신여건이 크게 향상된 것은 참여정부의 혁신 노력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벤처캐피털 활성화 수준,창업에 소요되는 행정절차 등이 많이 간소화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외국인 투자유치 증가에 힘입어 혁신연계지수도 크게 개선됐다.


잠재력과 '기본 실력'은 어느 정도 갖췄다는 얘기다.



◆성과는 답보상태


혁신역량 향상에도 불구하고 혁신성과는 51.7로 전년과 같은 8위에 머물고 있다.


'실력'에 비해 '성적'이 부실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는 혁신역량을 구성하는 지표인 혁신자원 부족, 혁신전략 부재와 관련이 있다.


특히 공공 및 민간기업의 연구개발 투자규모,특허건수,정보통신 인프라 등 혁신자원지수는 2003년 4위에서 2005년 8위로 4단계나 추락했다.


국가차원에서 연구개발 투자,특허등록 등을 계속 강조하고 있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절대적인 규모에서 밀리다 보니 순위 하락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중국 대만이 연구개발 투자를 크게 늘리면서 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다.


실제로 중국의 혁신자원지수는 2003년 9위에서 지난해에는 5위로 4계단이나 뛰었다.


기업의 글로벌전략 수준,고객 지향성,마케팅 활동범위 등 혁신전략이 정교하지 않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2005년 혁신전략지수 역시 중국과 대만에 밀려 2004년 4위에서 두 단계나 하락한 6위를 기록했다.


중국과 대만은 혁신전략의 중요성에 대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강조하며 앞서나가고 있다.


중국의 경우 최근 발전전략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외국인 투자유치에 있어 자체기술 개발전략으로 전환한다고 공개하기도 했다.


외국 기술을 수입하는 기존의 방향을 틀어 자체 기술력 확보에 집중하는 전략적 방향 선회인 것이다.


IBM 등 첨단기업을 과감하게 인수하는 것도 이 같은 방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장 실장은 "전략의 정교성,혁신주체의 내부역량,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에 부합하려는 지향성 등에 있어 한국이 중국에 밀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혁신자원 공유,선택과 집중이 열쇠


혁신자원의 절대적 규모가 작다고 해서 여기에 무한정 힘을 쏟을 수는 없다.


한정된 자원을 갖고 전략분야에 선택과 집중해야 하며 이미 투입된 자원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장 실장은 "혁신연계지수가 선진국에 비해 낮다는 것은 각자가 보유하고 있는 혁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자원이 제한된 상황에서 지속적인 고성장을 하려면 혁신자원을 서로 공유하고 해외 자원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