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레저타운 조성 '지지부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5일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에서 앞다퉈 해당 지역 특성을 반영한 대규모 '복합 레저단지' 개발 방안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 개발 방안이 수익성과 자금 조달 등을 무시한 채 수립돼 건설업계와 금융권으로부터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장밋빛 조감도'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현실성 있는 초대형 사업을 빼고는 개발업계와 건설업계의 관심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도시개발공사는 지난 1일 영종도 운북동에 조성되는 운북 복합레저단지 건설을 위해 민간사업자 모집 공고를 내면서 "오는 8일 열릴 사업설명회에 최소 100여개 건설사들이 참여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하지만 일부 건설업체들은 "외국계 자본이 절반을 넘어야 하는 등 개발사업 참여 조건이 까다롭고 엄청난 투자 자금에 비해 사업성이 불투명하다"며 우려를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기투자 부담, 보수적 경영방침도 한몫
건설사들이 지자체가 내놓는 복합레저단지 개발 방안에 시큰둥한 이유는 투자 자금은 수백억~수천억원대로 엄청난 반면 자금 회수는 운영 수익을 통해 오랜 세월 동안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레저 단지의 수익은 경기 상황에 민감해서 회수에 리스크가 크다는 게 맹점이다.
이 때문에 대형 건설업체인 P사와 K사 등 레저사업 진출에 관심이 많다고 알려졌던 업체들도 최근엔 레저사업 투자를 보류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까다로운 투자 조건에 공급과잉 우려까지
투자 조건이 까다로운 데다 사업 내용도 유사한 사업 계획을 각 지자체가 동시다발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도 업계의 외면을 자초하는 이유다.
실제로 영종도 운북지구 레저단지 개발사업이나 안면도 관광지 조성 사업 등은 외자 유치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외자 비율이 30~50%에 달하지 않으면 국내 민간업체들은 입찰에 참여할 수 없다.
GS건설 등 투자 여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던 업체들도 참가 방침을 철회하며 돌아선 데는 이 규정이 걸림돌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을 주도하는 지자체와 투자사인 건설업체 간 '적정 수익률'에 대한 인식차가 크다는 것도 난제다.
중견 건설업체 W사 관계자는 "한동안 복합레저단지를 조성하면 고부가가치를 누릴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입장이 바뀌었다"면서 "지방자치단체는 안정적으로 운영 수익을 낸다는 전제하에 입찰 공고를 내지만 개발업체·시공사는 운영이 실패할 가능성까지 고려하면서 수익률을 계산하다 보니 입장 차이가 크다"며 "일부 사업을 제외하면 민간사업체 투자공모 참여율이 매우 저조하다"고 전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국내 대신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경우도 늘고 있다.
우림건설 관계자는 "국내 복합레저단지 사업의 경우 규제도 많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막대한 선투자가 필요하다 보니 외국에서 레저단지 개발 사업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하지만 상당수 개발 방안이 수익성과 자금 조달 등을 무시한 채 수립돼 건설업계와 금융권으로부터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장밋빛 조감도'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현실성 있는 초대형 사업을 빼고는 개발업계와 건설업계의 관심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도시개발공사는 지난 1일 영종도 운북동에 조성되는 운북 복합레저단지 건설을 위해 민간사업자 모집 공고를 내면서 "오는 8일 열릴 사업설명회에 최소 100여개 건설사들이 참여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하지만 일부 건설업체들은 "외국계 자본이 절반을 넘어야 하는 등 개발사업 참여 조건이 까다롭고 엄청난 투자 자금에 비해 사업성이 불투명하다"며 우려를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기투자 부담, 보수적 경영방침도 한몫
건설사들이 지자체가 내놓는 복합레저단지 개발 방안에 시큰둥한 이유는 투자 자금은 수백억~수천억원대로 엄청난 반면 자금 회수는 운영 수익을 통해 오랜 세월 동안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레저 단지의 수익은 경기 상황에 민감해서 회수에 리스크가 크다는 게 맹점이다.
이 때문에 대형 건설업체인 P사와 K사 등 레저사업 진출에 관심이 많다고 알려졌던 업체들도 최근엔 레저사업 투자를 보류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까다로운 투자 조건에 공급과잉 우려까지
투자 조건이 까다로운 데다 사업 내용도 유사한 사업 계획을 각 지자체가 동시다발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도 업계의 외면을 자초하는 이유다.
실제로 영종도 운북지구 레저단지 개발사업이나 안면도 관광지 조성 사업 등은 외자 유치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외자 비율이 30~50%에 달하지 않으면 국내 민간업체들은 입찰에 참여할 수 없다.
GS건설 등 투자 여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던 업체들도 참가 방침을 철회하며 돌아선 데는 이 규정이 걸림돌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을 주도하는 지자체와 투자사인 건설업체 간 '적정 수익률'에 대한 인식차가 크다는 것도 난제다.
중견 건설업체 W사 관계자는 "한동안 복합레저단지를 조성하면 고부가가치를 누릴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입장이 바뀌었다"면서 "지방자치단체는 안정적으로 운영 수익을 낸다는 전제하에 입찰 공고를 내지만 개발업체·시공사는 운영이 실패할 가능성까지 고려하면서 수익률을 계산하다 보니 입장 차이가 크다"며 "일부 사업을 제외하면 민간사업체 투자공모 참여율이 매우 저조하다"고 전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국내 대신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경우도 늘고 있다.
우림건설 관계자는 "국내 복합레저단지 사업의 경우 규제도 많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막대한 선투자가 필요하다 보니 외국에서 레저단지 개발 사업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