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교육산업이 차지하는 위치는 독특하다.


공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지만 높은 교육열로 말미암아 국내 사교육 시장 규모가 30조원을 초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천문학적 시장 규모에도 불구하고 사교육 분야를 '산업'으로 보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개별 사업자들이 영세해 산업이라고 할 수 없는 규모이기 때문이다.


개인이 운영하는 보습학원을 중심으로 사교육이 이뤄지다 보니 교재나 교수법 등이 표준화되지 못하고 브랜드 전략도 그동안 전무했다.


변화의 바람은 대교 웅진 등 대기업형 학습지 업체와 종로 대성 등 단과학원들이 프랜차이즈 형태의 대형 학원을 만들어 사교육을 주도하면서 불기 시작했다.


학원에도 브랜드가 도입되면서 학원의 선택 기준이 입소문에서 기업의 브랜드로 바뀌었다.


특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주택가 보습학원의 경우 학원 강사의 수준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브랜드의 지원이 없으면 성공이 어렵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대기업 중심으로 재편됐다.


브랜드 전략은 학원뿐 아니라 학습지처럼 교재 형태로 판매되는 교육상품에도 적용되고 있다.


학습지를 예로 들면 이전까지만 해도 소비자의 선택은 회사 중심이었다.


한번 업체를 고르면 국어 영어 한자 등을 가리지 않고 한 회사의 학습지를 이용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학부모들이 회사보다는 개별 상품 브랜드를 보고 학습지를 고른다.한 가정에서 3∼5개 회사의 교육 상품을 동시에 이용하는 것은 낯선 광경이 아니다.


그만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브랜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교에서 브랜드를 관리하고 있는 오진경 과장은 "업계에서 다투어 브랜드 전문가들을 육성하면서 제품군별로 서로 다른 마케팅 전략을 쓰는 등 브랜드 알리기에 집중하고 있다"며 "마케팅하려는 제품군이 증가하면서 브랜드 마케팅에 들이는 비용도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사가 제정해 올해 세 번째를 맞이한 2006년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은 이런 배경에서 더욱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상은 교육브랜드의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교육산업 발전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만든 것으로 교육산업 부문별 브랜드가치 1위 기업을 선정해 시상한다.


한국경제신문사는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이 소비자에게는 우수한 교육브랜드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올바른 교육상품의 선택 기준을 제시하고 업체들에는 양질의 브랜드를 개발,발전시킬 수 있도록 독려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