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35 세대가 한국을 바꾼다] 정치.사회 (3) 키워드로 본 2635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635세대는 현실적이다.
외환위기 이전 풍요 속에 자라난 이들은 내키지 않는 데도 자신의 몫을 다른 사람에게 양보할 필요 없이 자라났다.
이들에겐 복잡한 이념이나 공동체의 이상,공통 아젠다를 내걸고 어깨를 걸고 뛰는 것은 체질적으로 맞지 않는다.
대신 이들은 '자기만의 방'에서 퍼스널(개인전용) 컴퓨터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는 데 익숙하다.
그러나 이들은 IMF세대이기도 하다.
현실의 냉혹함을 잘 알고 있는 이들은 학점과 커리어,연봉에 신경을 곤두세운다.
2635세대에 '접속'하는 키워드는 대략 네 개로 요약된다.
◆자기만의 방
이한빛(27,회사원)씨는 초등학교 3학년 때를 자신의 '독립의 시기'로 꼽는다.
이 때부터 동생과 떨어져 자기 방을 따로 쓸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2635세대는 어렸을 때부터 자신의 방을 가지고 자란 세대다.
이들이 학창시절을 보낼 무렵 한국사회에는 노래방·PC방·비디오방·만화방 등 각종 '방'문화가 속속 생겨났다.
독립적·개인적인 문화를 누리는 방법을 알고 있는 이들에게는 각종 '손바닥미디어'(핸드폰,mp3,DMB,PSP 등)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학원 마니아
학원은 어릴 때만 다니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기성세대,수업 땡땡이는 학생의 기본권이라고 주장했던 낭만파 대학생은 더 이상 현실 속에 없다.
2635세대 중에는 '학원 마니아'가 드물지 않다.
부산의 한 중견건설업체에 다니는 박성희(29)씨는 자타가 공인한 '어학원 마니아'다.
"그동안 다닌 학원만 10여 곳"이라는 김씨는 영어는 기본이고 일본어 중국어까지 섭렵하고도 성에 차지 않아 곧 야간 대학원에 등록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박씨와 같은 2635세대는 '졸업장이 밥 먹여주지 않는다'는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
같은 회사 김민지(27)씨는 "이직을 준비하고 있다보니 자격증이나 어학능력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며 "요즘 사회초년병 중 누가 첫직장을 평생직장으로 생각하느냐"고 반문했다.
◆정치 무관심
DC인사이드 등 각종 인기 인터넷게시판을 통해 20대 선거참여 바람이 불었던 지난 17대 총선에서각 언론들은 20대 투표율이 50%에 달할지도 모른다고 설레발을 쳤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16대 때보다 0.3%P 높은 37.1%를 기록했을 뿐이었다.
지난 10월 26일 재보선에서는 20대의 투표율은 더욱 급락,21%를 기록했다.
강남준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휴대폰이나 인터넷으로 투표참여운동을 벌인다고 해서 젊은 층이 투표소로 돌아오지는 않는다는 것은 미국의 2002년 대선에서도 증명됐다"면서 "어떤 행동이든 노력과 기회비용을 지불하는 법인데 2635세대는 그런 비용을 지불하고 정치적 입장을 밝히는 훈련을 받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이들을 대변하는 적절한 정치세력이 없는 것도 이들의 무관심을 부채질한다.
김은미(27,대학원생)씨는 "열린우리당도,한나라당도,민주노동당도 모두 2635세대를 대변해주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월드컵과 촛불시위
2002년은 변화의 시기였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에 이어 월드컵의 열기가 솟고 촛불시위라는 생소한 시위문화가 등장했다.
당시 사회에서는 '386의 파워가 대단하다'고 평가했지만 실제로 동원된 것은 2635세대가 주류였다.
"386이 만든 판에서 2635가 놀았다"는 얘기다.
특히 촛불시위는 정치적 무관심 세대였던 20대를 직접 행동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다.
정치적 무관심성으로 '악명 높은' 이들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난 것일까.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