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이 우리나라의 제조업 노동생산성은 지난 2002년 말 현재 미국의 3분의 1, 서비스업은 4분의 1에 불과하다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생산성이 이토록 뒤지는 것도 놀랍지만 갈수록 그 격차가 더욱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니 참으로 걱정스럽기 짝이 없다. 업종별로도 조선(造船)업 노동생산성만 미국보다 1.3배 높았을 뿐 대부분 업종은 아예 비교 상대조차 되지 못했다. 특히 한국을 대표하는 산업이라는 자동차 IT(정보통신) 같은 분야마저 미국의 26~27% 수준에 불과한 것은 충격이 아닐 수 없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산업경쟁력이 오히려 퇴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 1990년 미국의 32.6% 수준이었던 제조업 노동생산성은 2002년엔 31.4%로 떨어졌고 서비스산업도 45.6%에서 26.4%로 거의 절반 가까운 수준으로 추락한 형편이다. 산업경쟁력이 이처럼 취약해진 가장 중요한 원인은 임금인상률이 생산성 증가율을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996~2002년간 제조업 부가가치는 연평균 3.3% 늘어났지만 근로자 임금은 9.6%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미국과 일본의 임금상승률이 각각 3.2%와 0.7%에 그친 것을 감안하면 그 속도가 얼마나 가파른지 한눈에 드러난다. 더구나 지난해부터는 주5일 근무제까지 도입돼 기업 임금부담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래서야 어찌 기업들이 무한경쟁을 펼쳐야 하는 세계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겠는가.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삐를 바짝 조이지 않으면 안된다. 기업들은 지속적 연구개발(R&D)투자를 통해 원천기술과 차세대 핵심기술을 적극 확보해 나가는 한편 고부가가치(高附加價値) 제품 위주로 생산체제를 전환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업무의 표준화 및 전산화 등을 통해 효율성을 끌어올리고 6시그마와 같은 현장운동을 통한 혁신작업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중요한 것은 노사관계를 안정시키는 일이다. 무리한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을 일삼는 후진적 노동운동은 이제는 지양(止揚)돼야 한다. 노사가 한발씩 양보하면서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합리적 노사문화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노력이 너무도 시급하다. 생산성 향상은 단지 기업만이 아니라 정부와 노동계가 함께 힘을 모아 풀어가야 할 국가적 과제라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