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성장의 기관차 역할을 하게 될 동아시아 국가들이 역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선 '동아시아자유무역지대(EAFTA)'창설이 필요하다." 장연링 중국사회과학원 아·태연구소장은 중앙대학교 경제연구소 주최로 28일 중앙대 대학원 국제회의실에서 '동아시아 경제통합'이란 주제로 열린 학술대회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부분적 협력보다는 경제통합차원의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충영 중앙대 교수와 가와이 마사히로 도쿄대 교수 등 대부분의 참석자들도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을 나타냈다. 안 교수는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한국의 시각'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내 교역규모는 24%에 불과하다"며 "이는 유럽연합의 60%,북미자유무역협정의 44%와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일본 재무성 차관을 지냈던 가와이 마사히로 도쿄대 교수는 "일본은 동아시아 무역의 자유화뿐 아니라 보다 자유로운 투자 환경이 조성되길 희망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한국 중국 일본 및 아세안 국가들 간 포괄적인 경제제휴협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학술 대회 참석자들은 동아시아 경제협력체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주도권에 대해서는 미묘한 입장차를 보였다. 경제통합이라는 방향에는 찬성하면서도 기술적으로 난관이 적지 않을 것이란 관측을 불러일으킨 대목이다. 중국측 장 소장은 "동아시아 국가들은 중국과의 통합이라는 도전을 받아들여야 한다"며 "그래야만 중국 시장에서 좀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동아시아 경제협력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중국이 주도권을 가져야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에 대해 버나드 고든 미국 뉴햄프셔대 교수는 "동아시아 경제통합을 위한 노력들이 지역 블록화로 흘러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봐야 한다"며 "동아시아의 지역블록화는 미국의 이익뿐 아니라 세계 경제의 안정성과도 양립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가와이 교수는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의 규칙을 따르고 있다는 증거가 부족한 만큼 아직은 경제협정을 맺을 준비가 돼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일본은 지식재산권 보호와 투자자 권리 보호를 위한 투자 협정을 먼저 맺기를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안 교수는 "동아시아 경제통합을 확실하게 추진하는 방법은 한·중·일 3국이 먼저 FTA를 체결하고 아세안자유무역지대(AFTA)와 결합하는 방식이 이상적"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그러나 "중국과 일본의 역내 패권경쟁,영토분쟁,과거사 문제 등 각종 난관이 존재하고 있다"며 "한국이 먼저 선진형 통상국가로서 체제를 정비해 능력을 비축하면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