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2단계 제4차 6자회담에서 타결된 6개항의 공동성명은 1994년 체결된 북·미 제네바 기본합의와 여러 측면에서 대조적이다. 제네바 합의문 체결 당시에는 미국의 대북 공격이 임박했다는 가정이 전제가 됐다면 6자회담은 북한의 경제적 생존을 전제로 한 '빅딜'이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다. ◆회담 방식=제네바 합의문이 북·미 양자회담 방식으로 타결됐다면 6자회담 공동성명은 핵문제의 협상 주체라고 할 수 있는 북한과 미국을 포함한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6자간 협상의 산물이다. 제네바 회담과 같은 양자협상은 어느 한 쪽이 약속을 깨면 합의사항이 백지화되는 위험부담을 안고 있다. 미국이 양자방식을 거부하고 다자간 협상 방식을 좋아한 이면에는 책임을 여러 나라와 나누고, 결렬시 다자틀을 이용해 북한을 압박하겠다는 전략이 깔려 있었지만,적어도 표면적인 이유는 이 같은 양자방식의 허점 때문이다. ◆의제=제네바 합의문은 북한이 흑연감속로를 동결하는 대신 미국은 경수로 및 중유를 제공하고, 정치 경제적 관계 정상화를 이룬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반면 6자회담 공동성명은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의 비핵화 실현과 북·미,북·일 관계 정상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동북아 안보 및 협력 방안 강구 등 포괄적인 의제를 담고 있다. ◆대북 인식=미국은 제네바 합의문 체결 당시 북한의 붕괴가 임박했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 만큼 합의사항 이행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하지만 이번 6자회담에서는 핵무기나 재래식 무기로 북한을 공격하거나 침략할 의사가 없음을 공식 확인해 달라진 대북 인식을 보여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과거·미래 핵=제네바 합의 때는 이전에 추출된 플루토늄 등 '과거 핵' 문제 폐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6자회담 공동성명에서는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기로 약속해 포기 대상을 '과거의 핵'까지 명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