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한국 증시의 피로도는 얼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요즘 들어 한 나라의 주가 상승이 얼마나 건전한지 또 추가 상승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는 지표로 금융스트레스지수(FSI:Financial Stress Index)가 각광받고 있다.
종전에 한번 소개한 바 있는 금융스트레스지수란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이 분야에 가장 앞선 캐나다 중앙은행에 따르면 '금융시장과 정책당국의 불확실한 요인에 따라 투자자 등 경제 주체들이 느끼는 피로(疲勞)'로 정의하고 있다.
즉 주가 환율 금리와 같은 금융변수의 기대값이 변하거나 분산이나 표준편차로 표현되는 리스크가 커질 경우 금융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
현재 몇몇 국가의 중앙은행들이 금융스트레스 지수를 앞다퉈 개발해 실용단계에 놓여 있고,골드만 삭스와 같은 투자은행 등도 자체적으로 개발해 국가별 투자 판단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 지수를 활용해 글로벌 투자를 하는 금융기관일수록 높은 수익률을 기록해 투자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이처럼 각국의 중앙은행과 투자은행들이 금융스트레스지수 개발에 나서는 것은 종전의 위기 혹은 투자 판단 지표가 은행위기 혹은 통화위기 측면에서 제한적으로 접근해 금융시스템 전반의 움직임과 위기 발생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지수화해 알려 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반면 금융스트레스지수는 금융시스템의 총체적인 스트레스 상황을 하나의 지표로 보여 주기 때문에 정책당국자와 투자자들에게 금융정책 추진과 투자에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
캐나다 중앙은행의 금융스트레스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보면 한 나라 금융시스템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금융분야를 네 부문으로 구분해 접근한다.
즉 주식 채권 외환 등의 세 가지 금융시장과 은행부문이 금융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고,각 부문별로 주요 변수들을 추출해 부문별 스트레스지수를 산출한다.
다음 단계로 부문별 스트레스지수를 가중 평균하는 방법으로 한 나라의 종합적인 금융스트레스지수를 산출한다.
이 지수는 연속적인 시계열 자료로 1987년 블랙먼데이,97년 아시아 외환위기,2001년 9·11 테러 사태에서 투자자들이 느끼는 이 지수가 높게 나왔다.
캐나다 중앙은행과 같은 방법으로 국내 금융시장에 적용해 보면 그동안 주요 금융사건의 발생시기와 그 강도가 금융스트레스지수의 움직임과 매우 유사했다.
주목해야 할 것은 요즘 들어 금융스트레스지수가 다시 상승추세로 반전되고 있는 점이다.
여러 요인 가운데 정책당국 혹은 정책의 불확실성과,환차익과 자산부문의 거품을 겨냥한 외국인 자금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증시에 교란요인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최근 주가 상승은 전적으로 경기회복이나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시사해 준다.
오히려 정책당국과 정책으로부터 오는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거나 외국자본이 빠져 나갈 경우 주가가 조정받을 가능성이 높다.
종합주가지수 최고치를 목전에 두고 경제 여건에 대한 면밀한 관찰없이 그저 우리 경제를 밝게 보는 '마냐나 경제론'에 빠진 노무현 대통령과 뒤늦게 주식을 사놓고 보자는 투자자에게는 한번쯤은 곱새겨 봐야 할 대목이 아닌가 생각한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