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대우, 증권업계 급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의 귀국을 계기로 각 분야마다 그 명암을 둘러싸고 논란이 뜨겁습니다.
증권업계에도 적잖은 흔적을 남기고 있습니다.
박 재성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대우그룹 몰락과 맞물려
여의도 증권가에서
가장 뚜렷이
풍경이 바뀐 곳은
교보증권 맞은 편
두 투신사입니다.
각각 새 주인을 찾은 뒤
도약을 다짐하고 있지만
한국투자증권과
대한투자증권
두 투신사의 몰락은
사실 대우그룹이
화를 불렀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97년 외환위기 이후
유동성 위기에 시달리던
대우그룹이
가까스로 고비를
넘길 수 있었던 것은
이들 투신사들이
대우 발행
회사채와 기업어음을
뭉텅뭉텅 사들였기
때문입니다.
당시만 해도 펀드는
장부가로 운용돼
시장가치가 떨어지더라도
당장 손실이
반영되지 않는데다
대우 발행 회사채나 어음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높은 금리를
제공했기 때문입니다.
이 당시 투신권으로
몰려든 자금은
무려 200조원.
하지만 대우 사태가
불거지면서
자금은 물밀 듯 빠져나갔고
이후 투신권이
다시 회복하는 데는
3년 가까운 세월이
필요했습니다.
대우 사태의 충격을 기억하는 한
자본 시장이
우호적인 평가를 내리기
힘든 부분입니다.
현재 증시에 남아 있는
옛 대우 관련 기업은
모두 10개에 이릅니다.
대우중공업에서 갈라져 나온
대우조선해양은
가장 먼저 워크아웃을
졸업했고
나머지 한 쪽인 대우종합기계는
두산중공업에 인수됐습니다.
㈜대우가 분할된
대우건설과 대우인터내셔날
그리고 산업은행에 인수된
대우증권도
모두 성공적인 기업회생의
표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대우 전계열사의 워크아웃 당시
계열사 시가총액은
2조 2천7백억원.
만 5년이 지난 지금
12조 3천억원으로
껑충 뛰었습니다.
새 주인을 만나
과거의 상처는 점차
아물고 있지만
회생에 이르기까지
그 고통은
적잖게 그림자를 드리웠습니다.
증권업계 또한 마찬가집니다.
와우티브이 뉴스 박 재성입니다.
박재성기자 jspark@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