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3 00:44
수정2006.04.03 00:46
광주지역 C대학 교원 채용 과정에서 금품이 오갔다는 의혹이 결국 사실로 밝혀지면서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검찰이 수사 확대 방침까지 드러냄에 따라 수사 결과에 따라서는 이 지역대학가에는 상당한 충격이 예상된다.
24일 검찰에 구속된 C대학 교수 A씨가 시간 및 전임강사 7명으로부터 채용 청탁 대가 및 사례비조로 받은 돈은 5천300만원.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지 3개월여만에 그 실체가 밝혀진 셈이다.
A교수가 돈을 받은 시점은 2003년부터 2년에 걸쳐서고 돈은 대개 채용을 해 주고난 뒤 사례금 조로 받았거나 채용을 해주는 대가로 받았다.
처음 돈을 받은 것은 2003년 9월로 가을학기 시간강사를 채용하면서 사례금 명목으로 100만원을 받았다.
그리고 나머지는 2004년 1학기 시간 강사 및 전임강사 채용 공고가 나간 직후부터 4개월간 집중됐다.
전임강사로 채용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청탁을 받고 전임강사 임용 응시자 3명으로부터 3천700만원을 받았고 채용된 시간강사 2명으로부터 사례비 명목으로 총 500만원을 받았다.
또 전임강사로 채용된 B(34)씨로부터 나중에 사례금 명목으로 1천만원을 수수했다.
결국 A교수는 열악한 지위에 있는 시간강사에서 `교수'로 신분보장을 받고자 발버둥치는 전임강사들의 처지를 악용, 마구잡이로 돈을 받아 챙긴 셈이다.
검찰은 A씨에게 돈을 건넨 시간강사와 전임강사들에 대해서는 일단 뇌물 공여혐의가 성립하지만 금품 수수액이 적거나 임용에서 모두 탈락한 만큼 사법 처리는 신중히 하겠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A교수의 추가 혐의 사실 여부다.
당시 시간강사와 전임강사 임용에 응시한 사람이 20여명이 넘는 상황에서 추가로 금품을 건넨 응시자가 더 있을 개연성이 높다는 얘기다.
검찰도 이 부분에 대해 수사를 확대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또 한가지는 A교수말고도 다른 교수들이 직접 임용 응시자들로부터 금품을 수수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검찰은 전.현직 교수 2명도 조만간 소환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있어 검찰이 이 부분에 대해 어느 정도 증거를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만약 검찰 수사에서 이 학교 교수들이 줄줄이 소환되고 사법처리까지 될 경우 과거 교원 임용 과정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았던 이 대학은 또 한번 대외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하지만 이번 검찰 수사에 대한 지역 대학가의 불만도 만만치 않다.
가뜩이나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다 수능과 기아차 채용 비리가 터진지 얼마되지 않아 또다시 지역 이미지에 먹칠을 할 수 있는 수사를 하는 것은 너무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광주지역 한 대학 관계자는 "이번 검찰 수사가 지역 대학 전체에 악영향을 미치지나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광주=연합뉴스) 남현호 기자 hyun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