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포커스]주택경기 심상찮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건설.부동산 이슈들을 점검해보는 부동산포커스 시간입니다.
앞서 보도를 통해 전해드렸듯이 정부의 집값안정 의지에도 불구하고 주택경기가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부동산팀 권영훈기자와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부동산 시장이 호황이다 불황이다 얘기할 때 미분양 아파트가 빠질 수 없는데요.
미분양 물량이 두달째 감소했다죠? 경기회복 신호로 봐야 하나요?
경기회복 기대감에 미분양 아파트가 급속도로 소진되고 있습니다.
(CG)
건설교통부는 2월 말 현재 전국 미분양 아파트가 총 6만 4,644가구로 1월 보다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해 1월 4만가구에서 6월에는 5만가구 연말에는 7만가구에 달하는 등 적체현상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올들어 지난 1월 6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한 뒤 두달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광주, 대전 등 5개 지역을 제외하고 모두 줄었습니다.
특히, 인천 미분양 아파트는 1,225가구로 23%나 급감했습니다.
(CG)
전체 미분양 아파트 가운데 민간부문은 5만6228가구, 공공부문은 8,416 가구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2002년 5천가구에서 지난해 1만가구를 돌파한 데 이어 2월 말 현재 1만1311가구 등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미분양 소진률이 높아진 것은 분양가상한제가 공공택지지구 분양가에만 영향을 미쳐 중대형과 역세권, 그리고 개발호재지역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관심지역과 인기 브랜드 중심이어서 전체 시장으로 이같은 움직임이 확산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입니다.
실제 분양현장에서 어떤가요? 미분양 물량이 감소하고 있나요?
분양현장에선 미분양 소진 속도가 지표로 나타난 수치 보다 한층 빠른 모습입니다.
실제로 3월 들어 용인 성복지구, 오산 원동, 남양주 덕소 등 수도권 유망단지 로 거론되던 지역에서는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대부분 소진된 상탭니다.
지난해 9월 분양을 시작한 오산 원동 대림 e편한세상도 지난 21일 분양을 마감했습니다.
업체 관계자는 "요즘들어 하루 3~5건 가량 계약이 꾸준히 성사돼 쉽게 분양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브랜드와 입지를 기준으로 한 수요층 선호의 양극화 현상이 심해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뚜렷한 '소재'가 없는 지역에까지 퍼지기엔 무리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미분양 해소현상이 최근 신규 공급이 없다는 계절적 요인이 작용한 거라며 모든지역 미분양이 줄어드는 게 아니란 분석입니다.
미분양 물량 감소와 함께 최근 집값동향을 보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죠?
2.17 대책으로 주춤했던 주택시장이 본격 분양시즌에 접어들면서 다시 살아나고 있습니다.
지난주 서울과 수도권, 신도시 등의 아파트시세는 모두 주간변동률 상승폭을 키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행정중심 복합도시 수혜지인 충남은 0.18% 오른 0.49% 상승률을 기록해 회복세가 두드러졌습니다.
하지만, 수도권에선 기대했던 동탄3차에서 미분양이 속출하고 일반아파트도 호가만 올라 실제 매수세로 이어지기까지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CG)
지난주 수도권 매매가격은 서울이 0.13% 변동률을 보이는 등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CG)
전세값의 경우, 과천과 용인 등이 청사이전 기대감과 판교후광 효과에 힘입어 전체 가격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분양아파트와 집값추이를 볼때 지표상으론 주택경기가 좋아보이는데요.
정부가 최우선 정책목표를 집값안정으로 둔 만큼 예의주시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2003년 10.29 부동산종합대책과 지난달 수도권 집값안정대책 등 정부의 부동산정책은 규제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투기를 잡고 불안한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해섭니다.
하지만, 정부의 집값안정 의지와 무관하게 시장지표들은 불안한 형국입니다.
부동산 전문가들도 올해 시장전망에 대해 집값상승 쪽으로 무게중심을 두고 있어 집값이 다시 꿈틀거릴 가능성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현정부가 지속적으로 추진한 주택가격 안정노력은 물거품이 될 우려가 있습니다.
때문에 정부는 추가규제를 통해서라도 집값 잡기에 나설 것으로 보여 시장은 물론 수요자들의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2.17대책 이후에도 재건축 단지 가격이 별반 변동이 없어 해당지역에 대한 추가대책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CG)
한덕수 신임 경제부총리는 오늘 외신기자 간담회를 통해 부동산 경기를 살리기 위해 투기를 허용하지는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 투기억제 정책은 그동안 많이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 상황에 따라 언제나 적절히 발동하겠다며 또 주택 보유세를 합리적 수준으로 조정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으로 정부의 부동산정책 방향을 읽어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재건축 관련 정부정책이 시장혼선을 낳고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정부의 주택정책이 오락가락하며 갈피를 못잡고 있습니다.
건설교통부는 지난 17일 용적률 증가분이 30%를 넘지 않으면 임대주택 건축 의무화 대상에서 제외하겠다는 입법예고안을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발표한지 일주일이 안돼 건교부가 입장을 뒤바꿨습니다.
해당단지가 최근 가격이 들썩거린다는 게 이유인데요.
이처럼 시장변화에 따라 주택정책의 틀을 바꾸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는데요.
특히, 재건축 단지의 경우, 정부 정책에 따라 집값 등락폭이 커 정책혼선이 빚어질 경우 가격조정이 더욱 어려지게 마련입니다.
건교부의 정책혼선은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요.
판교 중대형 아파트의 분양가를 자율화를 발표한 뒤 결국 규제 방침으로 돌아섰습니다.
또, 동탄 신도시 개발계획 당시 뒷짐지고 있다가 최근 임대아파트에 대해 거품 논란이 일자 업계측에 가격을 내리도록 한 바 있습니다.
결국, 정책이 뒤바뀔때마다 실수요자들은 원점에서부터 내집마련 계획을 다시 짜야하는 혼란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권영훈기자 yhkwo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