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자원부는 어제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수소경제 시대' 대응전략을 내놨다. 자원고갈 환경파괴 등 화석에너지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을 찾아보자는 취지라고 한다.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고,연료전지를 통해 이를 이용한 후 다시 물로 순환하는 무공해 경제를 의미하는 수소경제가 생소하게 들릴지도 모르고 또 이것이 당장 시급한 것인지 의문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유가불안이 계속되고 있고 교토의정서 발효로 우리나라가 언제까지 온실가스 의무감축에서 비켜나 있기가 어렵게 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소경제를 먼훗날 얘기로만 생각할게 아니다. 이는 선진국에서 수소경제 주도권을 겨냥한 경쟁이 이미 시작됐다는 점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미국은 부시 대통령이 재작년 연두교서에서 밝혔듯이 수소연료전지 분야에 5년간 12억달러를 투자한다는'수소연료 주도전략(Hydrogen Fuel Initiative)'을 추진하고 있고,15개국이 참여 중인 수소연료전지 국제협력 채널인 이른바 수소경제 국제파트너십을 주도하고 있다. 일본은 연료전지 자동차,가정용 연료전지 등을 실용화하는 계획을 이미 추진한 바 있고,그 여세를 몰아 2010년까지 연료전지차 5만대,가정용 연료전지 220만㎾(약 70만가구),건물용 연료전지 90만㎾라는 공급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뒤질세라 유럽 역시 수소연료전지에 2006년까지 20억9천만달러를 투자한다고 한다. 이런 선진국들의 움직임을 우리가 구경하듯 쳐다보고 있을 때가 아니다. 에너지와 환경문제가 우리 경제에 발등의 불로 떨어진 상황이고 보면 특히 그렇다. 수소경제를 염두에 두고 에너지구조개편,산업구조조정,인프라 구축 등을 망라한 종합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은 그런 점에서 시의적절해 보이고 또 기대도 갖게 한다. 연료전지 자동차 및 버스,발전용 연료전지,다목적용 연료전지 로봇 등의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아울러 신재생 에너지와 연료전지가 결합된 청정실증단지 조성,연료전지와 첨단단열기술을 결합한 고효율주택 건설 등의 시범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개발경쟁에서 밀릴 것은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에너지와 환경문제는 미리 대비할수록 개별기업은 물론 국가경제에 미칠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수도 있다. 지금부터라도 정부와 기업이 지혜를 모아 수소경제를 준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