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솨요,샘'(어서오세요,선생님),'ゴ|ゴ|δδ'(웃음),'읍ㅎ℉를―ㅁ|てつ효―∩∇∩★'(오빠를 믿어요)…. 교육인적자원부는 10일 청소년 사이에 언뜻 봐서는 의미를 알 수 없는 인터넷 용어가 너무 확산되고 있어 언어 순화 및 예절교육 차원에서 교사용 지도 자료집을 발간해 일선학교에 배포했다. 책자는 인터넷상의 언어 파괴 유형으로 우선 축약형과 줄임말을 들었다. 방가(반가워),겜(게임),짱나(짜증난다),냉무(내용없음),즐팅(즐겁게 채팅하세요),ㅎㅎㅎ(웃음),ㄴㄱ?(누구세요?) 등이 그것. 소리나는 대로 적거나 된소리를 내는 마자(맞아),추카(축하),어이엄따(어이없다),띤구(친구) 등과 은어인 껌이냐?(무시하냐?),구라(거짓말),당근(당연하다),담탱(담임선생님),또 단어 형태를 바꾼 이써여(있어요),왔어염(왔어요) 등도 의미는 대충 알 수 있지만 자제해야 할 언어습관으로 지적됐다. 의성어·의태어인 음야(지루하고 졸리다)나 허걱(놀랍다),헐(황당하다),아햏햏(감탄사),P∼(한숨),ㅂ('그만'과 비슷하게 꾸짖는 말) 등도 인터넷에서는 널리 쓰이지만 일반인은 쉽게 해독할 수 없는 용어다. 특히 책자는 아예 일정한 규칙이나 형식없이 한글과 이상한 문자를 섞어쓰는 용어는 '외계어'로 규정했다. 책자는 인터넷 언어가 다양한 감정표현이 가능하고 개성적이고 창의적이며 빠른 속도에 적응할 수 있는 등의 긍정적 기능이 있지만 청소년의 문법과 국어 실력을 저하시키고 세대간 단절과 의사소통 혼란을 초래하는 부작용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