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의 이기준 교육부총리 사퇴 파문이 급기야 청와대 참모진으로 번지고 있다. 청와대 비서실장을 비롯한 인사추천회의 참석멤버 전원이 사의를 표명했다. 그런가 하면 노무현 대통령은 국민들에게 공개사과하고 인사시스템 전반에 대한 재점검과 개선책 마련을 지시했다. 참으로 불안하고 걱정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사실 참여정부는 노 대통령 취임초부터 '시스템 인사'를 강조해 왔다. 청와대에 인사수석실을 신설하고,추천과 검증을 서로 다른 부서에 맡겨 견제토록 하는 등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를 위해 나름대로 노력한 점은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그 결과는 어떤가. 인사때마다 '코드인사'다 뭐다 해서 크고 작은 잡음이 적지 않았고,이번에 임명된 교육부총리는 취임 사흘만에 물러나는 불상사가 빚어졌다. 참여정부 출범 2년이 다 되도록 검증작업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 정말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한마디로 실패한 인사시스템이라는 혹평을 받아도 할 말이 없게 됐다. 이번 교육부총리의 사퇴파동에 대해 청와대는 검증과정의 미비 때문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 노 대통령이 공직후보자들의 재산문제 등에 대한 사전 검증시스템을 보완하고 국무위원의 경우 국회 상임위에서 인사청문회를 거치는 방안 등을 검토해 보라고 지시한 것만 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우리가 불안하게 생각하는 것은 이번 파문이 비단 검증시스템의 미비 때문에 야기된 것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그 보다는 인사원칙이 흔들리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지우기 어렵다. 그간의 고위직 인사가 전문지식이나 능력보다는 개혁철학의 공유가 더 우선적인 잣대로 작용했는가 하면 선거에 따른 논공행상의 색채가 농후한 경우도 많았었다. 연초의 부분 개각때 노 대통령은 일부 장관들이 일은 잘했는데 국민 정서를 생각해서 바꿔야 했다거나,장관 재직 2년이 되면서 아이디어가 빈곤해지는 것 같아 교체할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설명이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고위직의 경우 조건이 까다로워 마땅한 사람을 찾기도 어렵고 게다가 잦은 교체로 인재풀이 바닥난게 아닌가 하는 점이다. 검증과정만 보완하고 지금의 인사시스템이 그대로 적용되는 한 인사 난맥상은 쉽사리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파문을 계기로 참여정부의 고위직 인사에 대한 원칙과 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해 보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