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경제시대-부산·울산·경남](전문가의견) 주수현 부산발전硏 선임연구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과 울산,경남을 잇는 동남권 광역경제권(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해 시급한 문제는 광역지자체간 강력한 공동기구 설립이다.
단순한 정책조정 협의기구가 아니라 광역 차원의 특정 정책과 집행을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구가 존재해야 수도권에 대항해 산업의 결집력을 강화할 수 있다.
지자체의 독자적인 개발과 함께 광역적 수요가 고려되고 규모의 경제와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비용절감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행정 및 지역간 협력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행정 편의와 표를 의식한 상황에서 벗어나 주민들의 경제 및 복지 향상을 위해 지자체 단독 사업에서 나아가 지자체간 다양한 사업이 협력적으로 추진돼야 할 것이다.
광역경제권을 형성,새로운 부를 창출해야 한다.
우선 동남경제권은 기계 조선 자동차 등 산업이 골고루 퍼져 있다.
서로 시스템을 잘 가동하면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광역권 차원의 다양한 프로젝트 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산업과 인력,기술 정보 금융 등의 공간과 기능적 결합체제가 구축돼야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
생산 기능과 생산자 서비스 기능의 결합도 필요하다.
금융 정보 경영 등의 생산자 서비스와 교육 문화 의료 등 생활 서비스의 광역적 공급체계가 구축돼야 세 지역의 산업과 생활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부산과 경남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가동을 통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행정구역을 초월해 연구기관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지역의 전통산업을 첨단화하고 신산업의 기반을 동남권의 특성에 맞춰 효율적으로 뿌리내리고 정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럴 경우 사장되다시피한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물과 지식을 산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략산업 중심의 거점 클러스터 육성도 시급하다.
권역내 2∼4개를 선정,세계적인 수준의 특성화된 클러스터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기술과 생산 마케팅 분야의 지원기관 특성화와 개발의 우선 순위도 과학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혁신 주체간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 서비스가 실질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나아가 광역경제권은 중국과 일본 등 국제지역간 광역경제권으로 진전돼야 한다.
글로벌 소싱의 거점화도 이뤄져야 한다.
국제협력은 경쟁이 아니라 보완적 차원에서 광역적으로 이뤄져야 역내 분업의 효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동남권 정보 허브 사이트 구축과 부품소재 인력지원 등을 위한 전문대학원 설립,부품소재 산업과 신기술을 결합하는 융합지원센터 설치 등도 지자체간 협력을 통해 이뤄지면 시너지 효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