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중국 경제는 경기긴축 정책이 어느 정도 지속될 것이냐가 최대 관심거리다.

또 중국인민은행(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을 단행할지 여부도 주목을 끌고 있다.

이는 투자 및 물가 동향 등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최소한 올해 말까지는 일부 산업을 대상으로 한 긴축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과잉투자 열기가 다소 진정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기 때문이다.

지난 5월 중국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34.8%를 기록했다.

전달 증가치에 비하면 8%포인트 떨어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20% 안팎으로 연착륙시키겠다는 게 중국 당국의 목표다.

중국 정부는 5월을 고비로 물가 투자 통화량증가 등의 경제지표가 꺾이고 있다는 점을 들어 하반기 경기안정에 강한 자신감을 표명하고 있다.

이는 경기긴축 정책의 강도가 기존보다 더 높아지지는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금리 인상과 관련, 중국의 관계와 학계에 '결국은 올려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이 중국 인민은행의 금리인상 마지노선인 5%에 육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5월 CPI는 4.4%를 기록했었다.

금융분석가들은 CPI가 7월 들어 5%를 넘어섰다고 예상하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5%를 넘어설 경우 예금금리(1년 만기 1.98%)와의 격차가 더욱 확대돼 실제 금리는 마이너스로 떨어진다.

다만 금리를 올릴 경우 인상 시기는 9월 이후가 될 전망이다.

중국 인민은행이 최소한 8월까지 물가 동향을 지켜본 후 금리인상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물가가 하락세로 돌아선다면 금리를 조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중국 정부는 올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7%선으로 안정시키겠다는 목표를 설정해놓고 있다.

그러나 GDP 움직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투자가 아직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올 GDP는 9~10%에 이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상하이=한우덕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