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음악 범패 한마당 .. 국립극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요무형문화재 50호로 지정된 불교음악 범패는 정가,판소리와 함께 우리나라 3대 성악중의 하나로 꼽히는 문화유산이지만 일반인들이 구경하기는 어려웠다.
국립극장은 새 기획프로그램 "민족 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시리즈의 첫공연으로 오는 17일부터 21일까지 하늘극장에서 "범패 페스티벌"을 연다.
지방 각지에 산재해 있어 좀처럼 한 곳에서 감상할 수 없었던 범패를 한 자리에 모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무대에는 서울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영산재'(17일),전라도의 '영산작법'(18일),영남의 '불모산 영산재'(19일),조계종 젊은 스님들이 펼치는 '범패와 작법'(20일),현대언어로 만들어진 '현충재'(21일) 등 5편을 올릴 예정이다.
조계종 전통의식연구원,영산작법보존회,불모산 영산재보존회,조계종 불교어산작법학교,범패와 작법무보존회 등 주요 단체들과 동주 스님,이석정 스님,석봉 스님,인묵 스님,능화 스님 등 예능보유자들이 함께 출연한다.
영산재는 보통 사흘에 걸쳐 열릴 만큼 규모가 크지만 이번 공연은 각 범패의 주요 부분을 1시간30여분 길이로 압축해 선보인다.
불교의식인 '재(齋)'를 올릴 때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며 부르는 범패는 인도에서 발생해 우리 나라에는 9세기께 당나라를 통해 전해졌다고 한다.
산스크리트어나 한문으로 돼 있어 일반인들이 알아듣기 힘들지만 전승과정에서 우리말 가사와 곡조로 된 한국식 범패인 '화청' '축원' 등이 생겨났다.
민요 명창들이 불러 유명해진 '회심곡(回心曲)'은 바로 이 화청,축원 가운데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의 가사를 토대로 한 노래.
국립극장은 '민족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시리즈 두 번째 무대로 내년에는 각지의 무속의식을 발굴해 무대화하는 '굿 페스티벌'을 열 계획이다.
(02)2280-4115~6
김재창 기자 charm@hankyung.com
국립극장은 새 기획프로그램 "민족 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시리즈의 첫공연으로 오는 17일부터 21일까지 하늘극장에서 "범패 페스티벌"을 연다.
지방 각지에 산재해 있어 좀처럼 한 곳에서 감상할 수 없었던 범패를 한 자리에 모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무대에는 서울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영산재'(17일),전라도의 '영산작법'(18일),영남의 '불모산 영산재'(19일),조계종 젊은 스님들이 펼치는 '범패와 작법'(20일),현대언어로 만들어진 '현충재'(21일) 등 5편을 올릴 예정이다.
조계종 전통의식연구원,영산작법보존회,불모산 영산재보존회,조계종 불교어산작법학교,범패와 작법무보존회 등 주요 단체들과 동주 스님,이석정 스님,석봉 스님,인묵 스님,능화 스님 등 예능보유자들이 함께 출연한다.
영산재는 보통 사흘에 걸쳐 열릴 만큼 규모가 크지만 이번 공연은 각 범패의 주요 부분을 1시간30여분 길이로 압축해 선보인다.
불교의식인 '재(齋)'를 올릴 때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며 부르는 범패는 인도에서 발생해 우리 나라에는 9세기께 당나라를 통해 전해졌다고 한다.
산스크리트어나 한문으로 돼 있어 일반인들이 알아듣기 힘들지만 전승과정에서 우리말 가사와 곡조로 된 한국식 범패인 '화청' '축원' 등이 생겨났다.
민요 명창들이 불러 유명해진 '회심곡(回心曲)'은 바로 이 화청,축원 가운데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의 가사를 토대로 한 노래.
국립극장은 '민족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시리즈 두 번째 무대로 내년에는 각지의 무속의식을 발굴해 무대화하는 '굿 페스티벌'을 열 계획이다.
(02)2280-4115~6
김재창 기자 char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