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혁신] 차세대 성장동력 'ET'가 이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환경기술(ET).정보기술(IT).생명기술(BT).나노기술(NT).문화기술(CT) 등 이른바 '5T기술'이라 불리는 이들 신기술은 지식정보화 시대에 고부가가치 기술로 분류되면서 국가와 기업의 승패를 좌우하는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환경기술(ET)에 대한 관심은 세계적 추세로서 개발도상국의 경우 환경문제보다는 산업성장에 초점을 둔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선진국으로 갈수록 산업성장보다는 보건학적인 면에 가깝게 접근된 보건환경을 중점 관리하는 실정.
현재 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의 단계를 넘어선 선진국 대열로 들어서고 있으나 아직 보건환경에 대한 인식이 미비한 실정이며 보건학적인 면을 등한시한 경향이 있어 최근 환경에 대한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구환경문제들은 석탄·석유 등의 화석연료 사용 급증에 따른 이산화탄소 농도의 급상승에 따른 온실효과로 지난 100년간 지구온도는 0.3~0.6℃,해수면은 18㎝ 이상 상승했다고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2100년까지의 지구온도는 0.8~3.5℃ 및 해수면이 15~95㎝ 이상이 예상돼 극지방의 빙산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해 저지대 국가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또한 극심한 생태계 파괴로 현존 식물종의 8%,조류의 11%,포유류의 14%,어류 5%가 멸종위기에 처해 생물다양성이 감소했다.
전세계 약처방의 25%가 식물추출이라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이러한 생물 종의 감소는 생태계 안정성과 자정능력을 감소시켜 생물자원의 잠재적 혜택마저 소멸시켜 경각심이 필요한 때이다.
또한 냉장고·에어컨 등의 냉매 및 반도체 세척제 등으로 쓰이는 프레온가스(CFCs)는 성층권의 오존층을 파괴해 피부암·안질환이 급증하고 있으며,인체 면역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과학자들은 설명하고 있다.
이미 지난 10년간 남극대륙 상공의 오존층이 남한면적의 320배 이상 파괴된 것으로 밝혀져 그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화학물질의 지속적 증가는 인간의 건강과 생물체의 정상적인 기능에 이상 초래한다.
특히 인체 호르몬 작용을 교란시키는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살충제 DDT의 남발 및 고엽제 속의 다이옥신 등은 남성의 정자수 감소와 성의 변이를 유발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사회적 우려 고조시켜 인간의 신체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한편 산업사회의 환경문제는 대량생산·대량폐기·대량소비에 비례해서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증가돼 온 것이 바로 산업문명의 병폐 및 환경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높은 인구밀도,강우량 편중 등 열악한 환경여건으로 인해 환경관리에 원천적으로 불리하며,인구의 약 45.3%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인구밀도는 세계 3위(476명/㎢),연간 강수량의 2/3가 여름 우기에 집중해 있어 환경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또한 국토의 단위면적당 이산화황(SO2) 배출량이 OECD 국가 중 1위이며,쓰레기 발생량 또한 최고 수준인 것도 커다란 문제.
우리나라의 경제는 지난 30여 년간 총 소비와 투자 특히 무역증가에 힘입어 고도의 압축성장 실현 급속한 산업화·도시화에 따라 환경문제 역시 단기간 다양하게 표출됐다.
이와 함께 환경과 개발을 둘러싼 지역간 환경분쟁의 심화,님비(NIMBY) 현상의 확산 등으로 환경정책 추진에 애로사항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환경산업의 현주소는 GDP 대비 환경시장규모를 볼 때 선진국의 2/3 수준으로 사전 예방적인 환경산업에 대한 수요 미약하며 환경산업체가 영세하고 채산성이 낮은 실정이다.
또한 환경기술개발 역시 연구개발 투자의 저조 등으로 우리나라 환경기술 수준은 선진국에 비하여 60∼70%낙후된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선진국과의 환경기술 격차가 대략 4~5년 정도 되는 것으로 보인다.
96년 WTO 체제 출범이후 기후변화협약 등 지구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압력이 가중되고,환경보호를 명분으로 한 무역규제조치도 가시화 되며 선진국 수준의 맞는 환경정책과 규범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21세기의 우리나라도 환경이 국가경쟁력과 삶의 질을 좌우하는 환경의 세기로써 무분별한 자연의 개발·이용을 통한 외형적 성장과 생활의 편리함만을 추구했던 사고에서 벗어나 생명가치와 환경을 중시하는 환경윤리의 정립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