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2 03:42
수정2006.04.02 03:44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정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 각당은 극도로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등 헌재 결정의향배를 놓고 긴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열린우리당의 경우 탄핵 기각이 확실시된다는 분위기속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직무 재개 이후 집권여당으로서의 책임있는 국정운영 주도를 다짐했고, 한나라당은 "결정에 승복해야 한다"는 원칙적인 입장만 밝혔다.
◇열린우리당 = 우리당 의원과 당선자들은 헌재가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기각할것으로 전망하면서 향후 정국 운영에 대한 의욕을 보였다.
이평수(李枰秀) 부대변인은 "우리 당은 대다수 국민 의사가 반영된 이번 총선결과가 야당의 대통령 탄핵에 대한 정치적 심판이 내려진 것으로 본다"면서 "헌재의정의로움과 역사성을 믿고 심판을 차분하게 기다리겠다"고 밝혔다.
안영근(安泳根) 의원은 "탄핵 문제가 해소되는 대로 명실상부한 집권여당으로서정부측과 긴밀히 협의해서 국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고 그에 대한 모든 책임을져야 한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한나라당이 불합리하게 제동을 걸거나 딴죽을 걸더라도 우리 당이원칙을 갖고 국정을 강력하게 이끌어나가야 한다"면서 "야당도 이제 불필요한 정쟁의 정치를 끝내고 민생과 국정 안정을 위해 협력을 다해야 한다"며 야권의 협력도당부했다.
우리당 관계자는 "내일 헌재의 결정이 내려지면 자축 행사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기각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는 기대를 감추지 않았다.
◇한나라당 = `어떤 결정에도 승복하겠다'는 입장에서 한치의 움직임도 보이지않았다.
하지만 한나라당은 `각하' `기각' `인용(탄핵)' 등 헌재의 선고 내용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중인 것으로 전해졌으며, 헌재 결정이 나오는대로 당의 공식입장을 밝힐것으로 예상된다.
박근혜(朴槿惠) 대표는 전날 초선 지역구당선자들과 가진 만찬간담회에서 "판결내용을 모르는 상태에서 벌써부터 입장을 정리하긴 이르다"면서도 "탄핵심판이 나오면 결과에 승복하고 입장을 표명할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나라당은 헌재 결정시 `소수의견'을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구상찬(具相燦) 부대변인은 "소수의견이 어떤 내용이든 국민은 알 권리가 있고 그것이 법과 원칙에도 부합한다"며 "헌재가 정쟁 악화를 우려하는 모양인데, 오히려 소수의견 비공개야말로 더 큰 갈등과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기각되면 국민을 향해 백배사죄해야 한다"는 원희룡(元喜龍) 의원의 주장에 일부 초선 당선자들이 동조한 것으로 알려진 반면, 홍준표(洪準杓) 의원 등 강경파는 "탄핵발의는 헌법 절차대로 한 것"이라고 반대입장을 명백히 했다.
◇민주노동당 등 기타 = 민노당은 헌법재판소가 기각 결정을 내릴 것으로 기대하면서 기각시 노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노당은 헌재의 소수의견 비공개 방침에 대해서는 '굳이 감출 필요가 있느냐'며 공개를 요구했다.
권영길(權永吉) 대표는 "국론분열을 우려해 소수의견을 비공개한다고 하는데 탄핵이라는 큰 문제도 잘 견뎌온 우리 국민이 그런 것으로 국론이 분열되겠느냐"며 "오히려 감춰둠으로써 (논란의) 불씨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이정일(李正一) 사무총장은 "정치권은 헌재의 심판 결과를 있는 그대로수용하고, 경제와 남북관계 등 산더미처럼 쌓여있는 국가적 현안 해결에 주력해야한다"면서도 "여당과 청와대가 마치 헌재 결정이 내려진 것처럼 행동하는 것은 너무가벼운 처사"라고 주장했다.
자민련은 헌재 결정에 차분하게 승복해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한 가운데 문도연(文度淵) 부대변인은 논평에서 "평생 법관으로 살아온 분들이 헌법에 대한 신념이 있다면 당당하게 소견을 공개해야 한다"며 "우리 사회의 분열된 여론을 한데 묶고 사회통합적 차원에서라도 소수의견을 존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맹찬형 강영두 황희경기자 mangels@yna.co.kr k0279@yna.co.kr zitro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