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쇼크'의 파장이 금융시장을 넘어 실물경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자 재계도 중국에 대한 투자속도 조절을 검토하기 시작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본격 착수했다. 현지에 진출한 대부분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로 은행들이 어음보증을 하지 않아 판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대규모 현지 투자를 계획했던 기업들도 신규 투자 검토 작업을 중단하는 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특히 중국이 곧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설이 나돌면서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30일 재계에 따르면 철강 유화 등 소재 메이커들은 차이나 쇼크의 단기적인 파장보다는 장기적인 후유증을 걱정하고 있다. 정부가 인위적으로 대출을 중단하면 금리가 오르고 결과적으로 내수 경기가 꺾여 판매에 차질을 빚을 것이란 분석이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중국에서 공격적으로 영업을 추진해온 대기업들은 중국 은행들이 신규여신 중단의 일환으로 어음보증을 하지 않는 탓에 대금을 결제받는 데 차질을 빚고 있다. 이같은 현상이 지속되면 중국 판매가 크게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현지 진출 기업 가운데는 신용장을 제때 개설하지 못해 원자재를 들여오는 데 어려움을 겪는 곳도 나타나고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우리 기업들이 중국 일변도의 투자 및 수출 구조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박병원 재정경제부 차관보 주재로 산업자원부 금융감독위원회 한국은행 등 13개 관련부처 및 국책·민간 경제연구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거시경제점검회의를 갖고 중국에 대한 리스크 분석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익원 기자·베이징=오광진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