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2 03:06
수정2006.04.02 03:09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집권 2기를 담당할 당과 정부의 주요 포스트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노 대통령은 최근 정동영(鄭東泳) 열린우리당 의장과 김근태(金槿泰) 원내대표를 2차례 가량 만나 당.정 역할분담을 비롯, 탄핵국면 해소후 정국 운영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정동영 의장은 당분간 의장직을 계속 유지하면서 당과 국회 개혁의책임을 맡는 것으로 일단 정리가 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 의장의 한 측근은 "제4세대 정당론을 피력해온 정 의장이 집권여당의 모습을완성시켜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실제로 정 의장은 노 대통령의 탄핵문제가 해결된 후 노 대통령과 우리당 지도부의 정례회동을 제의하는 등 의욕적인 당 챙기기 행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정 의장이 자신의 사퇴를 전제로 당초 거론했던 지도부 선출을 위한 7월전당대회도 개최 여부가 불투명하게 됐다.
그가 당 의장직을 유지할 경우 굳이 전대를 개최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또 지난 워크숍때도 일시 분출됐던 당내 이념 갈등이 재연될 우려가 있는데다,차기구도를 놓고 당내 분란이 극대화될 가능성도 있다는 여권 핵심의 판단도 작용한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핵심 관계자는 "정 의장이 노 대통령과 여러차례 만났다"면서 "당의 틀을잡는 일에 의장이 적극 나설 것이며 그 이후 행보는 아직 결정이 안됐다"고 말했다.
김근태 원내대표는 입각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입각한다면 통일부 장관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김 대표측은 원내대표를 계속 맡는 방안을 고집해 왔으나, 차기 대권 후보 물망에 올라있는 정 의장과 김 대표의 관계를 고려해 여권 핵심에서 입각쪽을 강력히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한 측근은 "1년가량 원내대표를 더 한 뒤 장관을 하면서 대권 수업을 받는것을 신중히 검토했었지만 현실적 여건이 그렇지 못하다"며 "노 대통령과의 단독회동에서도 입각 권유를 강하게 받은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차기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정 의장과 김 원내대표의 거취가 가닥을 잡음에 따라원내대표 등 당 주요 핵심포스트 경쟁구도도 좁혀지고 있다.
원내대표에는 이해찬(李海瓚) 의원이 김 대표의 지지세력과 민주당 출신 중진들의 지원 사격속에 가장 선두에 서 있다.
차기 국회의장으로 사실상 내정된 상태인 김원기(金元基) 고문 등 당 중진과 재야파및 386 운동권 출신 당선자들이 이 의원 지지를 선언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당권파측에서는 천정배(千正培) 의원의 출마가 기정사실화 되고 있는 가운데 김한길 당선자가 강한 출마 의욕을 갖고 있어 이들의 교통정리 여부가 관건이다.
주목할 것은 3선이 되는 문희상(文喜相) 당선자의 원내대표 경선 출마 여부다.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냈고, 노 대통령으로부터 당.청 가교 역할을 명(命) 받은 그가원내대표에 출마할 경우 당내 친노 개혁진영의 전폭적 지원속에 유력한 후보로 부상할 수 있지만 `청와대의 당 직할체제'라는 비판이 그의 행보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어 보인다.
문 당선자는 "원내대표에 출마할 생각이 없다"고 말한바 있어 그가 대통령 정치특보를 수행하면서 당.청 관계를 조율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관측이다.
사퇴 의사를 밝힌 고 건(高 建) 총리 후임에는 김혁규(金爀珪) 전 경남 지사가가장 앞순위에 있다.
정 의장이 최근 한 외신과의 회견에서 "다음 총리는 당에서 좋은 분을 추천할 생각"이라고 말한 것도 김 지사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당내에서는해석하고 있다.
`부산 대통령, 경남 총리' 구도에 대한 부담이 있긴 하지만, 여권내에서 그만한총리 후보를 찾기 어렵다는 점과 야당에서도 강하게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김혁규 총리' 구도가 유력하지만, 조세형(趙世衡) 상임고문과 한명숙(韓明淑)당선자 카드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의 `정치사부'로 지칭되는 김원기 고문은 국회의장을 맡으면서 남북 국회회담 등 남북관계에서 국회쪽의 활동 범위를 확장시키는 일에 전념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당 인사 가운데 최근 노 대통령을 단독 면담한 김태랑(金太郞) 선대위조직본부장의 해양수산부 장관 입각 가능성, 김정길(金正吉) 전 의원과 이부영(李富榮) 의원, 김홍신(金洪信) 전 의원 등의 입각설이 나돌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재기자 kn0209@yna.co.kr